북한의 자주적 외교라든가, 주체적인 행동양식에 대해 좋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는 것으로 안다.
하지만 나는 북한의 체제에 대해서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
그것은 몇가지 이유 때문이다.
나는 87년에 로동신문을 본 적이 있는데, 그야말로 쇼킹 그 자체였다. 1인 우상화의 초절정이라고나 할까?
박정희나 전두환에 비교할 바가 아니다. 로동신문의 김일성은 신앙 그 자체였다.
오늘날에도 별 다를 바 없다는 것은, 비에 젖는 김정일 장군의 플랭카드 떼러가는 북한 여대생들의 모습을 보면 뻔히 알 수 있지 않은가?
이런 우상화는 문학과 역사에도 철저히 침투해 있다. 김일성이 역사학자도 아닌데, 구구절절이 그의 교시에 따라 연구를 하고, 연구결과가 그의 교시와 일치해야 한다. 이건 정상이라고 부를 수 없다.
문학 역시 마찬가지다. 이태준 같은 둘도 나오기 힘든 문학가가 노동자로 일하다 죽을 수밖에 없었던 곳이 북한이다. 어디 이태준 뿐이랴? 박노해나 김남주는 감옥에서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글을 어떻게든 쓸 수 있었다. 이태준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겨주었나?
이태준은 공산주의자가 아니었다. 그것이 더욱 그의 약점이 되었겠지만. 이태준은 친구가 공산당에 의해 수감되자 평소 지인들을 통해 그를 구명하고자 월북을 했다. 북한에서는 그를 환대했고, 신사이며 마음도 착했던 그는 그냥 평양에 눌러 앉았다. 전쟁 전에는 분단이라는 것이 그리 심각한 문제도 아니었으니까. 그러나 그가 어떻게 되었는가? 자아비판을 해야했고 인쇄공장의 교정공으로 말년을 보내다 죽었다.
북한을 동포애로 보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북한인들은 김일성 신격화의 세뇌를 평생 받아온 사람들이라는 것을 잊어서도 안 된다. 오늘날 박정희를 좋게 평가하자는 말만 해도, 박정희에게 세뇌당해서 그렇게 생각한다고 이야기들 하지 않는가? 그보다 몇백배는 강하게 교육받고 한번도 그 비판에 노출된 적이 없는 북한 인민들의 사고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은가?
하지만 나는 북한의 체제에 대해서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
그것은 몇가지 이유 때문이다.
나는 87년에 로동신문을 본 적이 있는데, 그야말로 쇼킹 그 자체였다. 1인 우상화의 초절정이라고나 할까?
박정희나 전두환에 비교할 바가 아니다. 로동신문의 김일성은 신앙 그 자체였다.
오늘날에도 별 다를 바 없다는 것은, 비에 젖는 김정일 장군의 플랭카드 떼러가는 북한 여대생들의 모습을 보면 뻔히 알 수 있지 않은가?
이런 우상화는 문학과 역사에도 철저히 침투해 있다. 김일성이 역사학자도 아닌데, 구구절절이 그의 교시에 따라 연구를 하고, 연구결과가 그의 교시와 일치해야 한다. 이건 정상이라고 부를 수 없다.
문학 역시 마찬가지다. 이태준 같은 둘도 나오기 힘든 문학가가 노동자로 일하다 죽을 수밖에 없었던 곳이 북한이다. 어디 이태준 뿐이랴? 박노해나 김남주는 감옥에서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글을 어떻게든 쓸 수 있었다. 이태준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겨주었나?
이태준은 공산주의자가 아니었다. 그것이 더욱 그의 약점이 되었겠지만. 이태준은 친구가 공산당에 의해 수감되자 평소 지인들을 통해 그를 구명하고자 월북을 했다. 북한에서는 그를 환대했고, 신사이며 마음도 착했던 그는 그냥 평양에 눌러 앉았다. 전쟁 전에는 분단이라는 것이 그리 심각한 문제도 아니었으니까. 그러나 그가 어떻게 되었는가? 자아비판을 해야했고 인쇄공장의 교정공으로 말년을 보내다 죽었다.
북한을 동포애로 보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북한인들은 김일성 신격화의 세뇌를 평생 받아온 사람들이라는 것을 잊어서도 안 된다. 오늘날 박정희를 좋게 평가하자는 말만 해도, 박정희에게 세뇌당해서 그렇게 생각한다고 이야기들 하지 않는가? 그보다 몇백배는 강하게 교육받고 한번도 그 비판에 노출된 적이 없는 북한 인민들의 사고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은가?
덧글
공산주의는 모두 무우를 먹는 것인데, 이북은 인민은 무우도 못 먹고 있는데 뽀글이 이하 지배층들은 산삼을 먹고 있는 체제 아니겠습니까?
그게 외교입니까? 깡패 마피아 양아치 짓이지.... -_-;;
북한의 인권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거라 보시는지요?
...
냉전시대의 불행한 민족사가 21세기 미패권주의 시대에 대응해가는 안타까운 역사적 현장입니다.
어쨌든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이 된 다음에 꽉막힌 북한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또 한 번의 진통을 겪었으면 합니다.
북한의 도발? 북한에 대한 미국의 협상 태도를 보면 북한의 도발이라는 표현은 정말 미국 극우층에나 통할 표현인 것 같습니다. 북한은 가난한 나라입니다. 당연히 미국과 게임이 안됩니다. 그것을 미국은 알기에 북한의 요구를 묵살하고도 협상이라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했을지 모릅니다. 글쎄요 북한이 친미 정권이 아니라는 것 말고 미국에 대해 북한이 저지른 범죄가 무엇이 있나요? 저는 북한의 위기가 전쟁전 이라크의 위기와 매우 비슷하게 보입니다. 이라크는 심지어 무장해제까지 당하고도 침략을 당했습니다. 미국의 침략을 정당화할 것은 아무것도 없는 것 같습니다.
이라크 침공은 물론 부도덕한 짓이죠. 그렇지만 후세인이 전쟁을 과연 피할 수 없었을까요? 저는 북한이 협상하는 자세의 근본에는 세뇌된 주체사상이 깔려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축구 경기에서 이겨도 친애하는 김정일 장군님 덕에 이겼다고 말하는 것처럼 말이죠. (박통 시절에 우리나라도 그랬죠.)
이상하게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광해군이 실용외교를 했다고 추켜세우면서 조선의 왕들이 한 일도 광해군이 했던 일과 동일했다는 사실을 망각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인조는 바보 짓을 했지요. 하지만 그전의 조선 왕들이 명에 사대외교를 한 것은 광해군이 한 일과 동일한 거지요.
전쟁은 인류 최악의 범죄고, 전쟁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가능한한 그 방법을 따라야 하는 법이라고 생각해요. 국가정책이라는 것은 길게 보아야지요. 100년 후의 일을 계획해 나가야 마땅한 법 아니겠습니까?
노무현 대통령마저 "미국에 할 말 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하고는 부시한테 꼬리치는 게 대한민국의 현실이니까요...-_-;;
저는 그 가치가 우리 나라가 그래도 독자적인 언어와 풍습을 지키고 나름의 중앙정권을 유지할 수 있었던데 있다고 봅니다. 최고로 자랑스럽진 않겠지만 결코 죽지않는 한민족의 끈끈한 삶이라고나 할까요? :)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저는 21세기 한국이 우리 역사상 가장 융성한 시기중 하나가 아닌가 합니다. 세계 경제 14위의 경제대국이고, 어디가서 무시 당하지 않고 살 수 있으니까요. 이 사실 자체를 자랑스러워 합니다. (비록 미국의 속국으로 살지언정, 우리의 실리를 지키고 있으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조선시대 외교와도 비슷하단 생각도 드네요.
제 글에도 친절하신 비판과 격려를 해주세요. 프로 작가분과 소통하는 기쁨이 있습니다.
이 문제는 나중에 언급할 때가 오리라 생각합니다. (천하국가 다 읽으면 정리해서 올릴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