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첫 대목에 황제의 성은 공손公孫이라고 나온다.
하지만 오제본기의 말미에는 성이 사姒라고 나오며,
희수姬水에서 자라서 성이 희姬라는 이야기도 있다.
황제가 죽은 뒤 제왕의 자리는 황제의 손자 전욱顓頊에게 전해졌다.
전욱은 황제와 유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 창의昌意의 아들이다.
전욱이 죽자 제위는 황제와 유조 사이의 큰 아들 현효玄囂의 손자 제곡帝嚳에게 이어졌다.
오촌 조카에게 물려준 셈이다.
제곡은 진봉씨陳鋒氏의 딸을 아내로 맞아 방훈放勛을 낳았다.
이 방훈이 바로 요堯임금이다.
요는 순舜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순은 전욱의 후손이다.
전욱에게는 궁선窮蟬이라는 아들이 있었고, 궁선은 경강敬康을 낳았으며, 경강은 구망句望을, 구망은 교우橋牛를, 교우는 고수瞽叟를 낳았고, 고수는 중화重華를 낳았다.
중화가 바로 순이다.
순은 우禹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우의 이름은 문명文命이며 아버지는 곤鯀이다. 곤은 전욱의 아들이다.
즉 이들 황제-전욱-제곡-요-순-우는 모두 한 집안이다. 선양이 어쩌고 저쩌고 하지만 알고보면 결국은 한 집안에서 왕위 독점이었으며, 다만 부자 상속이 확립되지 않았을 뿐이다.
그나저나 글이 왜 이렇게 아무데로나 튀는 거냐...-_-;;
소전
1.황제
┌─┴─────┐
현효 창의
| |
? 2.전욱
| ┌─┴──┐
3.제곡 궁선 곤
| | |
4.요임금 경강 6.우임금
|
구망
|
교우
|
5.순임금
하지만 오제본기의 말미에는 성이 사姒라고 나오며,
희수姬水에서 자라서 성이 희姬라는 이야기도 있다.
황제가 죽은 뒤 제왕의 자리는 황제의 손자 전욱顓頊에게 전해졌다.
전욱은 황제와 유조嫘祖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 창의昌意의 아들이다.
전욱이 죽자 제위는 황제와 유조 사이의 큰 아들 현효玄囂의 손자 제곡帝嚳에게 이어졌다.
오촌 조카에게 물려준 셈이다.
제곡은 진봉씨陳鋒氏의 딸을 아내로 맞아 방훈放勛을 낳았다.
이 방훈이 바로 요堯임금이다.
요는 순舜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순은 전욱의 후손이다.
전욱에게는 궁선窮蟬이라는 아들이 있었고, 궁선은 경강敬康을 낳았으며, 경강은 구망句望을, 구망은 교우橋牛를, 교우는 고수瞽叟를 낳았고, 고수는 중화重華를 낳았다.
중화가 바로 순이다.
순은 우禹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우의 이름은 문명文命이며 아버지는 곤鯀이다. 곤은 전욱의 아들이다.
즉 이들 황제-전욱-제곡-요-순-우는 모두 한 집안이다. 선양이 어쩌고 저쩌고 하지만 알고보면 결국은 한 집안에서 왕위 독점이었으며, 다만 부자 상속이 확립되지 않았을 뿐이다.
그나저나 글이 왜 이렇게 아무데로나 튀는 거냐...-_-;;
소전
1.황제
┌─┴─────┐
현효 창의
| |
? 2.전욱
| ┌─┴──┐
3.제곡 궁선 곤
| | |
4.요임금 경강 6.우임금
|
구망
|
교우
|
5.순임금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