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양의 지가를 올리다"는 말은 [洛陽紙價高]라는 한문이 그 원래 말이다.
이게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베스트셀러를 가리키는 말이다.
베스트셀러가 나왔는데, 왜 낙양의 지가 = 종이값이 오르는가?
"책을 많이 찍어내니까 종이가 많이 들어가서 종이값이 오르는 건 당연하지 않아?"라고 말한다면 큰 오산.
[洛陽紙價高]라는 말은 [진서]에 실려있는 말이다. 위촉오 삼국을 통일한 진나라의 역사서다.
진나라는 3세기 중반에서 4세기초까지 있었던 나라다.
그런데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물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불국사 석가탑 안에서 발견되어서 8세기 중엽에 인쇄 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본은 최고 인쇄물로 자국의 [백만탑다라니]를 든다. 중국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중국에서 인쇄된 것이라 우기고 있다.)
[洛陽紙價高]라는 말이 나올 당시에는 인쇄술이라는 것이 없었던 것.
(damekana님의 트랙백을 보고 약간 추가하겠다. 인쇄술이 중국에서 개발된 것은 수나라 때로 보고 당나라 초엽에는 확실히 인쇄를 한 기록이 있다는 것. 즉 5세기말에서 6세기초에 걸쳐 인쇄술이 개발되었다. 아무튼 이 글의 논지에는 변하는 것은 없다.)
저 말이 나온 유래는 이렇다.
진나라 때 시인이었던 좌사左思가 쓴 삼도부三都賦가 워낙 명문이어서 낙양의 문인들이 그 시를 베끼려고 종이를 사들였고, 갑자기 종이 수요가 폭증하여 종이값이 올랐다는 뜻이다.
사족.
나는 시집을 딱 한번 베껴본 적이 있다.
고등학교 때 김소월 시집을 읽고 감탄하여 며칠에 걸쳐 베껴썼다. 그 무렵에 이런 말이 나왔다면 "서울의 노트값을 올리다"라고 했을 것이다.
이게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베스트셀러를 가리키는 말이다.
베스트셀러가 나왔는데, 왜 낙양의 지가 = 종이값이 오르는가?
"책을 많이 찍어내니까 종이가 많이 들어가서 종이값이 오르는 건 당연하지 않아?"라고 말한다면 큰 오산.
[洛陽紙價高]라는 말은 [진서]에 실려있는 말이다. 위촉오 삼국을 통일한 진나라의 역사서다.
진나라는 3세기 중반에서 4세기초까지 있었던 나라다.
그런데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물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불국사 석가탑 안에서 발견되어서 8세기 중엽에 인쇄 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본은 최고 인쇄물로 자국의 [백만탑다라니]를 든다. 중국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중국에서 인쇄된 것이라 우기고 있다.)
[洛陽紙價高]라는 말이 나올 당시에는 인쇄술이라는 것이 없었던 것.
(damekana님의 트랙백을 보고 약간 추가하겠다. 인쇄술이 중국에서 개발된 것은 수나라 때로 보고 당나라 초엽에는 확실히 인쇄를 한 기록이 있다는 것. 즉 5세기말에서 6세기초에 걸쳐 인쇄술이 개발되었다. 아무튼 이 글의 논지에는 변하는 것은 없다.)
저 말이 나온 유래는 이렇다.
진나라 때 시인이었던 좌사左思가 쓴 삼도부三都賦가 워낙 명문이어서 낙양의 문인들이 그 시를 베끼려고 종이를 사들였고, 갑자기 종이 수요가 폭증하여 종이값이 올랐다는 뜻이다.
사족.
나는 시집을 딱 한번 베껴본 적이 있다.
고등학교 때 김소월 시집을 읽고 감탄하여 며칠에 걸쳐 베껴썼다. 그 무렵에 이런 말이 나왔다면 "서울의 노트값을 올리다"라고 했을 것이다.
덧글
나침반, 종이, 화약은 인정해 주겠지만 인쇄술은 아닌 거 같던데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