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에 대해서 두가지 속담이 늘 생각난다.
강남갔던 제비가 봄에 돌아온다는 것과
친구따라 강남간다라는 것이 그 두가지다.
우리는 <강남>이라는 용어에 무척 익숙하다.
서울에 강남구라는 지명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의 상징처럼
강남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나는 어릴 때 제비들이 기껏 한강 남쪽에 가봐야
여전히 추워서 얼어죽을텐데 거길 뭐하러 가나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더구나 친구따라 강남간다는 말은
친구따라 강남 나이트 간다는 말은 아닐까라는
한심한 생각을 하기도 했다.
이 속담에서 말하는 <강남>은 물론 한국에 있는 땅이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강남은 양자강 이남이다.
<월인석보>에는 훈민정음 의례본의 국역이 실려있다.
조선초에 쓰여진 것이다. 여기에 그 유명한 구절인
나랏말쌈이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가 실려있다. 그리고 이 듕귁(中國)에 낱말풀이가 붙어 있다.
바로 이렇게.

중국은 황제 계신 나라이니 우리나라에서 보통 江南이라 하느니라
황제 계신 나라를 왜 강남이라 했을까?
이때 중국을 차지한 나라는 바로 명나라다.
明은 강남에 도읍을 가지고 북벌에 성공한 첫 한족 왕조다.
(두번째는? 장개석이다)
그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을 강남이라 부르기도 했던 것이다.
물론 이때는 영락제가 북경으로 천도한 다음이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강남이라 불렀다.
정신나간 유사역사가는 훈민정음에 나오는 중국을
나라 가운데라는 뜻이라고 우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정말 그런
주장을 하는놈들 사람은 자료 좀 찾아보며 공부 좀 했으면 한다.
[추가]
바보들은 흔히 "중국中國"이라는 말은 중화민국이 생긴 뒤에나 있을 수 있는 말이라고 미친 소리를 한다.
음... 뭐부터 보여줘볼까? 사마천이 쓴 <사기> 진본기에 이런 말이 있다.
其 玄 孫 曰 費 昌 , 子 孫 或 在 中 國 , 或 在 夷 狄 。
그 현손을 비창이라 하는데, 자손이 혹은 중국에 살고 혹은 이적에 살았다.
이런 대목은 어떤가?
繆 公 怪 之 , 問 曰 : 「 中 國 以 詩 書 禮 樂 法 度 為 政 , 然 尚 時 亂 , 今 戎 夷 無 此 , 何 以 為 治 , 不 亦 難 乎 ? 」 由 余 笑 曰 : 「 此 乃 中 國 所 以 亂 也 。
목공이 괴이하게 여겨 물었다. "중국은 시서예악과 법도로 나라를 다스리는데도 늘 난리가 나는데 지금 융족은 이러한 것이 없으니 무엇으로 나라를 다스리는가? 어려움이 있지 않은가?" 유여가 웃으며 말했다. "이것이 바로 중국에 난리가 나는 이유입니다.
전국시대에 나온 <맹자>에 있는 이런 말은 어떤가?
欲辟土地, 朝秦楚, 敍中國而撫四夷也. 以若所爲求若所欲, 猶緣木而求魚也.
영토를 넓혀 진나라, 초나라에게 조공받고 사이를 어루만져 중국에 군림코자 하나, 전쟁으로 이를 달성하려는 것은 나무위에서 물고기를 구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무식하면 말을 말든가...-_-;;
강남갔던 제비가 봄에 돌아온다는 것과
친구따라 강남간다라는 것이 그 두가지다.
우리는 <강남>이라는 용어에 무척 익숙하다.
서울에 강남구라는 지명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의 상징처럼
강남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나는 어릴 때 제비들이 기껏 한강 남쪽에 가봐야
여전히 추워서 얼어죽을텐데 거길 뭐하러 가나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더구나 친구따라 강남간다는 말은
친구따라 강남 나이트 간다는 말은 아닐까라는
한심한 생각을 하기도 했다.
이 속담에서 말하는 <강남>은 물론 한국에 있는 땅이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강남은 양자강 이남이다.
<월인석보>에는 훈민정음 의례본의 국역이 실려있다.
조선초에 쓰여진 것이다. 여기에 그 유명한 구절인
나랏말쌈이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가 실려있다. 그리고 이 듕귁(中國)에 낱말풀이가 붙어 있다.
바로 이렇게.

중국은 황제 계신 나라이니 우리나라에서 보통 江南이라 하느니라
황제 계신 나라를 왜 강남이라 했을까?
이때 중국을 차지한 나라는 바로 명나라다.
明은 강남에 도읍을 가지고 북벌에 성공한 첫 한족 왕조다.
(두번째는? 장개석이다)
그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을 강남이라 부르기도 했던 것이다.
물론 이때는 영락제가 북경으로 천도한 다음이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강남이라 불렀다.
나라 가운데라는 뜻이라고 우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정말 그런
주장을 하는
[추가]
바보들은 흔히 "중국中國"이라는 말은 중화민국이 생긴 뒤에나 있을 수 있는 말이라고 미친 소리를 한다.
음... 뭐부터 보여줘볼까? 사마천이 쓴 <사기> 진본기에 이런 말이 있다.
其 玄 孫 曰 費 昌 , 子 孫 或 在 中 國 , 或 在 夷 狄 。
그 현손을 비창이라 하는데, 자손이 혹은 중국에 살고 혹은 이적에 살았다.
이런 대목은 어떤가?
繆 公 怪 之 , 問 曰 : 「 中 國 以 詩 書 禮 樂 法 度 為 政 , 然 尚 時 亂 , 今 戎 夷 無 此 , 何 以 為 治 , 不 亦 難 乎 ? 」 由 余 笑 曰 : 「 此 乃 中 國 所 以 亂 也 。
목공이 괴이하게 여겨 물었다. "중국은 시서예악과 법도로 나라를 다스리는데도 늘 난리가 나는데 지금 융족은 이러한 것이 없으니 무엇으로 나라를 다스리는가? 어려움이 있지 않은가?" 유여가 웃으며 말했다. "이것이 바로 중국에 난리가 나는 이유입니다.
전국시대에 나온 <맹자>에 있는 이런 말은 어떤가?
欲辟土地, 朝秦楚, 敍中國而撫四夷也. 以若所爲求若所欲, 猶緣木而求魚也.
영토를 넓혀 진나라, 초나라에게 조공받고 사이를 어루만져 중국에 군림코자 하나, 전쟁으로 이를 달성하려는 것은 나무위에서 물고기를 구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무식하면 말을 말든가...-_-;;
덧글
'주옥같은' 이라는 표현은 네티즌 사이에서 발음을 빨리했을시 나타나는 연음현상을 이용해서 'x같은'이라는 단어를 순화(?)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