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적은 이야기인데, 칭기즈칸의 올바른 표기가 뭔지 나도 잘 모르겠다.
어려서 듣던 노래가락으로 생각하면 [징기스칸]이 맞는 것 같은데 요즘은 다 [칭기즈칸]이라고 쓰고 [징기스칸]이라고 읽는 것 같다.
각설하고, 이 글 제목에 있는 주장은 단국대 윤내현 교수가 한 것이다. 그런 글을 볼 때마다 한국의 미래가 암담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 글 전체는 링크 걸 생각도 들지 않는다. 그냥 해당 주장 부분만 보도록 하자.
칭기즈칸의 선조, 한민족의 한 갈래
우리 민족과 문화가 외부에서 왔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은 나름대로 근거를 제시한다. 그 지역에서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문화와 같거나 비슷한 문화 요소가 발견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것만으로 우리 민족이 그곳에서 기원했고, 우리 문화가 그곳에서 왔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거꾸로 우리 문화와 같거나 비슷한 다른 곳이 있다면, 우리나라로부터 그곳으로 전파되어 갔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은가. 그러한 점에 대한 충분한 연구 없이 우리 것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문화가 다른 나라 또는 다른 지역에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그곳이 우리 민족과 문화의 기원지가 된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우선 몽골과 시베리아 지역을 예로 들어 보자. 외국에서 만나면 서로 자기 나라 사람으로 혼동할 정도로 몽골 사람은 우리와 많이 닮았다. 이를 두고 우리 조상들이 몽골 지역에서 이주해 왔기 때문일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서양 사람들도 우리를 ‘몽골리안’(mongolian)에 포함시킨다.
또 몽골 문화 가운데 우리 것과 유사한 것이 있으면 몽골의 침략을 받았던 고려시대에 몽골로부터 우리나라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한 면이 전혀 없지 않겠지만 충분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몽골 사람들이 우리와 닮은 것은 오히려 그들이 우리 지역에서 이주해 갔기 때문일 가능성이 많다. 몽골 지역의 주민은 여러 번 바뀌었다. 고대에 그 지역 주민은 흉노(匈奴)였다. 그러나 한(漢)나라의 대규모 흉노 정벌에 의해 그들은 몽골 지역을 버리고 서쪽으로 이주해 갔다. 그후 몽골 지역에는 주변에 거주하던 여러 종족들이 이주했는데 중심부에서 세력을 떨친 종족은 보르치긴족이었다.
칭기즈칸을 배출한 종족인 것이다. 지금 몽골에는 여러 종족이 섞여 사는데 보르치긴족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보르치긴족은 몽골로 이주해 가기 전 북만주 어르구나하(額爾古納河) 유역에 거주했던 종족이다. 고대 북만주 지역은 고조선의 영토였으며, 고조선이 붕괴된 후에는 동부여 영토가 됐다.
그들이 거주했던 지역은 동부여 영역이었거나 동부여와 접경한 곳이었다. 따라서 지금 몽골에 거주하는 주류 종족인 보르치긴족은 우리 민족의 한 갈래이거나 우리 조상들과 아주 가까운 지역에 거주했던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우리와 닮았고 우리와 같은 문화를 많이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대체 이 사람들은 종족과 민족을 언제쯤 되면 구분할 수 있게 될까? 같은 동네 거주해서 우리 민족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동북공정]과 다를 게 없다. 솔직히 말하자면 동북공정보다도 논리가 빈약하다. 아무 것도 증명되지 않는 가설을 내놓고 사람들을 허구의 민족주의 물결 속으로 떠다밀면서 학자연하다니... 정말 욕밖에 안 나온다.
어려서 듣던 노래가락으로 생각하면 [징기스칸]이 맞는 것 같은데 요즘은 다 [칭기즈칸]이라고 쓰고 [징기스칸]이라고 읽는 것 같다.
각설하고, 이 글 제목에 있는 주장은 단국대 윤내현 교수가 한 것이다. 그런 글을 볼 때마다 한국의 미래가 암담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 글 전체는 링크 걸 생각도 들지 않는다. 그냥 해당 주장 부분만 보도록 하자.
칭기즈칸의 선조, 한민족의 한 갈래
우리 민족과 문화가 외부에서 왔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은 나름대로 근거를 제시한다. 그 지역에서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문화와 같거나 비슷한 문화 요소가 발견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것만으로 우리 민족이 그곳에서 기원했고, 우리 문화가 그곳에서 왔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거꾸로 우리 문화와 같거나 비슷한 다른 곳이 있다면, 우리나라로부터 그곳으로 전파되어 갔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 않은가. 그러한 점에 대한 충분한 연구 없이 우리 것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문화가 다른 나라 또는 다른 지역에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그곳이 우리 민족과 문화의 기원지가 된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우선 몽골과 시베리아 지역을 예로 들어 보자. 외국에서 만나면 서로 자기 나라 사람으로 혼동할 정도로 몽골 사람은 우리와 많이 닮았다. 이를 두고 우리 조상들이 몽골 지역에서 이주해 왔기 때문일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서양 사람들도 우리를 ‘몽골리안’(mongolian)에 포함시킨다.
또 몽골 문화 가운데 우리 것과 유사한 것이 있으면 몽골의 침략을 받았던 고려시대에 몽골로부터 우리나라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한 면이 전혀 없지 않겠지만 충분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몽골 사람들이 우리와 닮은 것은 오히려 그들이 우리 지역에서 이주해 갔기 때문일 가능성이 많다. 몽골 지역의 주민은 여러 번 바뀌었다. 고대에 그 지역 주민은 흉노(匈奴)였다. 그러나 한(漢)나라의 대규모 흉노 정벌에 의해 그들은 몽골 지역을 버리고 서쪽으로 이주해 갔다. 그후 몽골 지역에는 주변에 거주하던 여러 종족들이 이주했는데 중심부에서 세력을 떨친 종족은 보르치긴족이었다.
칭기즈칸을 배출한 종족인 것이다. 지금 몽골에는 여러 종족이 섞여 사는데 보르치긴족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보르치긴족은 몽골로 이주해 가기 전 북만주 어르구나하(額爾古納河) 유역에 거주했던 종족이다. 고대 북만주 지역은 고조선의 영토였으며, 고조선이 붕괴된 후에는 동부여 영토가 됐다.
그들이 거주했던 지역은 동부여 영역이었거나 동부여와 접경한 곳이었다. 따라서 지금 몽골에 거주하는 주류 종족인 보르치긴족은 우리 민족의 한 갈래이거나 우리 조상들과 아주 가까운 지역에 거주했던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우리와 닮았고 우리와 같은 문화를 많이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대체 이 사람들은 종족과 민족을 언제쯤 되면 구분할 수 있게 될까? 같은 동네 거주해서 우리 민족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동북공정]과 다를 게 없다. 솔직히 말하자면 동북공정보다도 논리가 빈약하다. 아무 것도 증명되지 않는 가설을 내놓고 사람들을 허구의 민족주의 물결 속으로 떠다밀면서 학자연하다니... 정말 욕밖에 안 나온다.
덧글
늦었지만 링크 신고드립니다.
2. 1800년대 유타주 광부 명부에 "KIM"이라는 이름이 있다고 한국인 운운도 하고 (켐벨이나 킴벌리의 약칭이 킴입니다. 그런 논리라면. 금발 여배우도 한국인이고 키플링의 모 소설에 나오는 분도 한국인이네요)
3. 뭐 소시적에 한민족은 유태인의 한 갈래부터 노아의 직계(그러니까 아버지 벗은거 비웃던 아들이 아니라 덮어준 아들의) 이고 (대신 중국인은 그 노아 벗은거 보고 웃은 종족의 일파라는 -_-;;;) 라는 이야기도 돌았죠.
4. 소시적에 이인화나 조갑제가 몽골 관련으로 띄워준게 저렇게 "진화"하나 봅니다. 개그죠
ps: 연개소문이나 문무왕이나 안 죽고 일본에 가서 "천황폐하"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버젓히 있는데요. 모 드라마에서 아무래도 그걸 학설화 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뭐, 철학책에 자주 이름이 오르내리는 철학자(비트겐슈타인씨였나..)도 나치즘에 빠져들었던 것을 보면, 단국대 교수가 환빠에 빠져드는 것도 이상한 것은 아닐지도.ㅠㅠ
... 제가 나중에 성공해서 이름 나면 꼭 이런 주장을 해야 겠습니다. 아주 다 망쳐 버리지요 뭐.
덧. 언제 시간나십니까? 손가락이 굳을 지경입니다^^;
당연히 셈의 직계는 이스라엘이고, 노아를 보고 웃었다는 건 함이었으니 그럼 중국인들은 흑인이어야...어디서 나온 이야긴지 몰라도 참 웃기는 이야기로군요.
미친고양이 / 비트켄슈타인은 유태인입니다. -_- 히틀러가 유태인 탄압해서 영국으로 망명했죠.
말씀하신 사람은 아마 하이데거 같군요.
1. 몽고사람들이 한국인과 비슷한 이유는 원나라 한반도를 점령했을떄 처녀들을 그들에게 조공한 이유로 혼혈 때문입니다.(한국인의 몽고 반점 / 몽고 여자들은 불임이 많은데 기마생활로 골반이 망가져서)
2. 경상도말 "욕봤다"는 조공으로 바쳐진 여자들을 위로하는 말입니다.
3. 한반도 거주민들은 역사적으로 한반도 밖으로 진출한 적이 별로 없으며 이유는 강성한 중화대륙과
의 마찰을 두려워서입니다.
2. 근거없는 민간어원설입니다.
3. 그보다는 춥고 황량한 북방으로 나갈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것이 더 정확한 해석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