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의 진실 *..역........사..*

삼국사기의 진실? [功名誰復論님의 포스팅에 링크]
『삼국사기』가 아니라 『삼국사』라고?? [야스페르츠님의 포스팅에 링크]

일제가 [삼국사]를 [삼국사기]로 고쳐 놓았다는 주장에 대해서 功名誰復論님이 일침을 놓은 것이 위 링크의 내용이다. 야스페르츠님의 포스팅도 함께 붙여놓았다.
빈약한 상상력과 짧은 지식으로 혹세무민하는 놈들 같으니라고... (한숨)

功名誰復論님이 링크 걸어놓은 그곳에서는 이런 말을 한다.

아무튼 일본서기는 '기(紀)'인데 반해 삼국사기에는 '기(記)가 붙어 있다.
여기서 기(紀)는 제왕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고 기記는 제후의 역사를 기록한 책인 것을 알면 이 의도를 우리는 곧바로 알아챌 수 있다는 것이다.

기記가 제후의 역사를 다뤘다는 말은 매우 무식한 주장이다. 제후의 역사를 다루는 용어는 세가世家이다. [고려사]는 왕들을 기紀가 아니라 세가世家로 쓰고 있다. 삼국사기는 신라, 고구려, 백제를 모두 본기本紀로 쓰고 있는 [주체적인 서서]다.

그럼 기記라는 건 뭘까? 삼국사기를 쓴 김부식은 자신의 작품을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빗대고 싶었던 것이다.

또한 백제는 자국 역사서로 서기書記를, 고구려는 유기留記를 만들었는데, 그럼 이 두나라가 자국의 역사를 제후의 역사로 생각했다는 걸까? 멋도 모르고 아무데나 금칠을 하려고 들면 이런 결과를 빚는 법이다.

소위 재야라는 인간들이 하는 일이란 게 이런 것이다.





---------------------------------
그냥 재미삼아 조금 더 추가해보자.

중국사서 중에 진서晉書라는 것이 있다. 사마의의 후손인 사마염이 세운 그 진나라의 역사를 다룬 역사책이다. 이 책에는 기존 중국사서에 없는 특이한 분류가 들어가 있다.

재기載記라는 것이다.

이 [재기]라는 것은 진나라가 남방으로 쫓겨간 뒤(이것을 동진이라고 한다.) 북방의 정세를 기록한 것이다.
그럼 이게 [제후의 역사]냐? 무슨 말을... 모두 [황제의 역사]다. 5호16국은 모두 황제국이었으니까.
하지만 진서晉書는 이들을 황제 취급해 줄 수 없었기 때문에 [재기載記]라는 특이한 분류를 만들어냈을 뿐이다.
저 글을 쓴 인간이 진서의 이런 내용을 염두에 둔 것은 결코 아니라는데 붕어빵 한 개 걸겠다.

덧글

  • Kim_Hyun 2006/09/18 22:12 #

    요새 들어 제가 어렸을 적 환빠였다는 사실이 무지하게 부끄러워집니다.
  • 루드라 2006/09/18 22:23 #

    晉은 사마소의 아들 사마염이 세웠죠. 오랜만에 보는 초록불님의 실수...^^;
  • 초록불 2006/09/18 22:55 #

    루드라님 / 아이쿠... 수정합니다.
  • 페로페로 2006/09/18 23:04 #

    하...요즘 들어서 말이죠, 환빠들은 혹시 우리 고대사를 처음부터 하나하나 되짚어 보기 위해 작전을 쓰는것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하나를 증명해서 반박해 주면 또 엉뚱한 하나를 들고나와 헛소리들을 하니 다시금 공부하게 되어 얼마나 좋습니까.

    하아아.....
  • luxferre 2006/09/18 23:07 #

    갑자기 붕어빵이 먹고 싶어지는군요...
  • 2006/09/18 23:19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슈타인호프 2006/09/19 01:31 #

    오! 페로페로님께 원츄 100만번!!
  • 루드라 2006/09/19 01:37 #

    저 바보의 논리에 의하면 사마천의 史記는 제후국의 역사라서 記인 모양입니다. ^^
  • 초록불 2006/09/19 08:25 #

    루드라님 / 중국사서 중에 [사기] 이후 記를 쓴 사서가 없는 이유는 사마천을 존중한 때문이라는 말도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 2006/09/19 09:14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06/09/19 10:01 #

    비밀글 / 한번 생각해보겠습니다.
  • Nairrti 2006/09/19 10:06 #

    공명수복론님이 인용한 링크의 글이 원문인지 확실치가 않네요. 출처가 없는 걸로 봐서는 원문인 거 같기도 한데, 해당 블로그에 다른 역사 이야기가 없는 걸로 봐서는 인용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궁금해서 관련 이야기들을 좀 찾아보니 월간조선 이상흔 기자가 쓴 글이 있군요.
    http://monthly.chosun.com/reporter/writerboardread.asp?idx=532&cPage=7&wid=hanal
  • kunoctus 2006/09/19 16:11 #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케이스군요. (쫓아내는 쪽이 아니라 만드는 의미의 구축)
  • 2006/09/19 17:03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06/09/19 17:04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06/09/19 20:12 #

    비밀글 / 옛날부터 그렇게 불렀는데요... 원 시로는 본 적이 없고, 천룡팔부인가에서 봤던 기억으로... 음... 맞으시겠죠. 원문으로 돌려놓는 게 상책이겠네요. 그나저나 그게 아직도 완간이 안 된 겁니까?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유사역사아웃

2017 대표이글루_history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