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세무민하는 법 만들어진 한국사

우연히 황당무계한 이야기를 봐서 간단하게 적어본다.

최X환이라는(자세히 거론하고 싶지 않다) 사람의 이야긴데, 이런 주장을 해놓았다.

조선이 중국에 있었다는 증거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가져와서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 선조 52권 27년 6월 2일의 기록이다. 좀 길지만 인용한다.

례부(禮部)주객 청리사(主客淸吏司) 제독(提督) 회동관 주사(會同館主事) 홍계준(洪啓濬)의 주본은 다음과 같다. (중략) 각성(各省)의 순무(巡撫)를 맡은 신하가 마땅히 관중(關中)과 낙양(洛陽)을 한 집안처럼 형세가 서로 연결되게 하여, 적이 산동(山東)에 들어오면 회주(淮州)·서주(徐州)가 지원하고, 적이 회주·서주에 들어오면 절강(浙江)·직례(直隷)가 지원하고, 적이 절강·직례에 들어오면 민중(閩中)·양광(兩廣: 광동성과 광서성)이 지원하게 하소서. 이와 같이 한다면 군대의 사기가 진작될 것입니다.

원문까지 같이 적어서 길게 인용하고 있는데 핵심적인 부분은 저 말이다. 조선왕조실록에 저렇게 중국 지명들이 나오고 적과 싸울 것을 대비하는 이야기가 나와 있으니 조선이 중국에 있었다는 것이 증명된다는 논리.

혹세무민도 이런 혹세무민이 있을까?

우선 홍계준은 명나라의 관리다. 앞에 버젓이 "예부"라고 나와 있다. 조선에서는 "예조"지, "예부"가 아니다. 저것은 명나라 신하가 명나라 황제에게 올린 상소문이다. 그게 왜 조선왕조실록에 들어 있을까? 이런 이유로 들어있는 것이다.

선조 52권, 27년( 1594 갑오 / 명 만력(萬曆) 22년) 6월 2일 기유 3번째기사
유 총병(劉總兵=유정) 의 접반관(接伴官) 김찬(金瓚)이 장계(狀啓)하였는데, 대략 다음과 같다.
“총병이 신에게 묻기를 ‘호 참장(胡參將=호택) 을 보내온 이유를 알고 있는가? 혹시 왜노(倭奴)를 봉해달라고 청하는 것으로 주본(奏本)을 올리게 하지는 않았는가?’
하기에 신이 답하기를
‘이 적은 곧 우리 나라의 불공 대천의 원수이지만 우리 나라는 군량이 바닥나고 병졸마저 지쳐서 그들을 소탕할 힘이 없다. 만약 중국이 봉왕(封王)을 허락한다면 모르거니와 우리가 어찌 왜를 위하여 주본을 올려서 그 의논을 도울 수 있겠는가. 봉공(封貢)의 일은 중국 조정의 논의가 어떠한가?’
하니,
‘조정도 두 가지를 견지하고 있고 논의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과도관(科道官) 및 예부(禮部)와 병부 우시랑(兵部右侍郞) 손광(孫鑛) 등은 허락할 수 없다고 하고, 석 상서(石尙書=석성) 는 허락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 중에 한 관원은 논의하기를 「이번에 소서비(小西飛)를 송환하면서 왜노를 그들의 소굴로 모두 돌아가게 한 다음 그들이 만약 그 명을 따르면 봉공을 허락하자.」 하였는데, 다만 그 관원의 논의가 좋았다. 황상(皇上) 또한 이 일을 망설이고 결정하지 못했다. 밖에 있는 사람으로 강화를 하려 하지 않는 자는 오직 나 한 사람이다. 문관(文官)의 말이 중시되고 무관의 말은 시행되지 않으니, 어찌할 것인가.’
하였습니다.

명조(明朝)의 예부 주객 청리사 제독 회동관 주사(禮部主客淸吏司提督會同館主事) 홍계준(洪啓濬)이 주본을 올렸는데, 그 대략에
저들이 숨이 차 헐떡이는 나머지 어찌 잠깐이나마 생명을 구차하게 연장하고 싶지 않겠습니까마는 그 군신(君臣)은 행성(行成=화친)의 치욕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포서(包胥)의 눈물을 뿌리면서 차라리 황제 폐하의 궐문에 하소연하여 한 판의 죽음을 택하려고까지 하는데, 이는 그들이 행장(行長)과 심유경(沈惟敬)의 계획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 당당한 전정(專征) 의 사마(司馬)로서 망국의 대신(大臣)보다 못하단 말입니까. 신은 참으로 부끄럽습니다.’ 하였습니다.”

저들[彼]이란 우리 나라를 가리키고, 사마란 석성(石星)을 지칭한다. 중조(中朝)의 사론(士論)이 이와 같이 꼿꼿한데도 지금 호택의 계획을 따라 수적(讎賊)을 위해 봉공을 허락해 주길 청하는 것은 무슨 생각에서인가. 성교(聖敎)에 이른바 ‘드러내고 봉공을 청하지는 않지만 속으로는 있는 힘을 다하고 있다.’한 것이야 말로 이 당시의 정세를 한 마디로 대변하였다고 할 것이다. 아, 통탄할 일이다.】


위 내용은 무슨 이야긴고 하니, 명나라 장수 유정의 접빈관이었던 김찬이 명나라의 화친 논의에 대하여 보고한 것이다. 유정은 화친에 반대하지만 조정에 화친 논의가 많다는 이야기를 한 것이고 그 뒤에 홍계준이 "화친을 해서는 안된다, 조선이 위급하고 힘들지만 화친을 맺으려 하지 않고 원군을 얻어서 싸우고자 하는데 왜 화친을 맺으려 하느냐"는 상소를 올렸다는 이야기를 붙여놓은 것이다. 조선 조정 입장에서는 홍계준이 고마운 상소를 올려준 것이다. 그래서 홍계준의 상소 내용을 이 기사 바로 다음에 붙여 놓은 것이다. 기사에 보이듯이 명조明朝=명나라 조정이라는 말이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 사람은 "명조란 우리 조정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주장한다.

그럼 행성의 치욕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포서의 눈물을 뿌리는 [저들]은 대체 누굴까? 혹세무민도 이런 혹세무민이 있겠는가?

핑백

  • 초록불의 잡학다식 : 재야의 망상사학 4 - 빈랑 2007-07-13 13:42:42 #

    ... 리키는 말이다.전에도 한번 지적한 바와 같이 최두환은 우리나라 옛 글에서 중국쪽 글이 인용된 것을 보면 그게 조선이 중국에 있었다는 증명이라고 열을 낸다. 혹세무민하는 법 [클릭]아무리 환단고기에 푹 빠져서 산다고 해도 이런 황당한 구절을 만나면 좋아서 날뛰지 말고, 좀 원문을 확인해보는 게 어떻겠냐? 쯧쯧쯧... ... more

  • 초록불의 잡학다식 : 국수주의 사학의 영원한 떡밥 2007-09-16 02:14:40 #

    ... 고조선 열수를 찾아서 3. 한반도에 백제 성이 없다 4. 영남에서 나온다는 빈랑의 진실 5. 마한 땅 4천리란 무엇을 말하는가? 6. 조선왕조실록에도 대륙설을 증명하는 내용이 있다고? 7. 고대 사서에 나오는 면의 정체 8. 살수의 위치 9. 난하 요수설 10. 훈민정음에 나오는 강남의 위치 11. 홍수 기록 12. ... more

  • 초록불의 잡학다식 : 우리나라의 역사, 그 미스테리에 대해 [한국사 미스테리 60] 2010-08-17 15:10:55 #

    ... 지도 모른 채 "회서"가 나오니 "회수 서쪽"이고 그러니 임진왜란은 중국에서 일어났다고 이야기하면 대체 어쩌자는 건가? 이 양반의 어이없는 주장 하나 보시렵니까? 혹세무민하는 법 [클릭] 51. 임진왜란 당시 기록을 보면 왜가 침입해오자 조선의 왕은 서쪽으로 피신했다고 기록되어있다. 상식적으로는 북쪽으로 피신해야 옳다. 서울에서 개성으로 가 ... more

덧글

  • chione 2007/02/25 16:03 #

    이제 삼국도 아니고 조선까지 대륙에... 정말 웃음밖에 안 나오는군요.
  • 초록불 2007/02/25 16:13 #

    chione님 / 뭐, 최근엔 그쪽에선 제법 유명한 사이트에서 제 이름이 거론되고 있더군요. 잘하면 유명인이 될 듯... ^^;;
  • 슈타인호프 2007/02/25 16:46 #

    간단합니다. 그 "저들"은 "대조선"의 "지방정권"인 거죠. 그 후손은 지금 어디에 살까?
  • 2007/02/25 19:45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07/02/25 20:05 #

    비밀글 / 어떤 일들이 있었을지 그 사람들의 일반 반행태를 보면 짐작이 가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아무튼 답답한 현실이군요.
  • marlowe 2007/02/25 20:19 #

    믿을 수가 없군요. 최소한의 지성과 양심이 있다면 도저히 못할 짓이거늘...
  • 이준님 2007/02/26 00:37 #

    저 아저씨 난중일기 번역까지 손 댔었죠. 거기서 "한문 실력의 부족함"을 드러냈는데 그걸 "대륙 조선설"로 커버했다고 보면 됩니다. (뭐 사실 그런 일때문에 실제 업계에서는 파문되다 시피했구요)

    나중에 무려 "하멜 표류기"도 대륙 조선설의 증거라고 해서 새로 번역 -_-;;을 한것도 있구요
  • 초록불 2007/02/26 00:58 #

    이준님 / 밥그릇 지키려는 눈물겨운 노력이라고나 할까요...-_-;;
  • 홍비홍신랑 2007/02/27 13:59 #

    그 사람 전직 해군 중령(별 못단게 다행이지...)에다가 전역 후에는 해군교육사령부 충무공수련원(정말 이런데가 있기는 한걸까?) 교수로 특채되었다고 하는데(몇 년 전이라 지금은 뭐하는지 모릅니다...) 우리 해군이 중국 연안으로 이동해서 중국을 지키게 되는 건 아닐지...저 사람한테서 '교육'씩이나 받았으니 말이죠...
  • 초록불 2007/02/27 14:52 #

    홍비홍신랑님 / 지금은 이런 낚시책을 써서 먹고 살고 있죠. 대한민국은 중국(=진짜 한민족)의 변방으로 기록이 없는 무지한 종족이긴 하지만 지금은 한반도에 살고 있으니 열심히 이땅이라도 지키며 살아가야 한다는 독특한 역사관을 가지고 있죠.
  • 총천연색 2007/02/27 22:43 #

    _-_ 세상 참...
  • 리라이벌 2007/03/07 00:08 #

    혹세무민 하는 법 간단합니다. 지금 SBS가 개소문 이후의 차기작으로 준비중인 단군같은 드라마나 욘사마 나온다고 난리인 뭔 드라마 같은 역사드라마만 반영하면 국민의 50%는 환독에 물들겁니다~ 룰루~ (.....)
  • 애민군주 2009/07/20 21:51 #

    한때 실록을 다읽어볼려고 중종꺼부터 딱 보았는데 너무긹어서 금방 꺼버린;; 그에비해 7년동안 실록 다읽으신 이한우씨는 정말 대단하신...
  • 초록불 2009/07/20 23:23 #

    그렇죠...
  • 파랑나리 2011/09/05 15:52 #

    이한우? 누구요?
  • 게으른 바다표범 2017/02/06 07:27 #

    조선대륙설의 뿌리는 동국여지승람입니다.

    조선시대 조상들이 현대의 후손을 혹세무민 한거죠.

    조선의 학자들은 거의가 사기꾼 ?
  • 초록불 2017/02/06 10:28 #

    이른바 조선대륙설과 동국여지승람은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듣는군요. 제가 살펴본 바로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유사역사아웃

2017 대표이글루_history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