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야의 망상사학 2 - 우리나라의 사서 만들어진 한국사

일반인들의 큰 오해 중 하나가 우리나라 역사서가 삼국사기, 삼국유사 밖에 남은 것이 없다고 믿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오해에는 목소리 큰 재야가 큰 역할을 해주었다.

더 재미있는 것은 수많은 [이름도 알 수 없는 사서]들이 일제강점기에 불타 없어졌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것이 새빨간 거짓말임은 이미 밝힌 바 있으니 이 자리에서는 더 논하지 않는다.

그런데 최근에 본 어떤 글에서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이 있었다.

"조선왕조만 5백년인데 역사서 하나 만들지 않았다는 게 말이나 됩니까? 역사서가 만들어졌지만 일제가 모두 태워버린 것이 분명합니다."

무식하면 공부를 좀 하던가...

내가 30분 동안 조사해서 찾아낸 역사서들을 소개한다. 물론 현존하는 역사서들이다.

그리고 여기는 역사서만 적어놓는데, 풍부한 기록유산에 대해서 알고 싶은 사람은 기록문화유산 [클릭]을 방문하기 바란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시대의 기록은 비석과 명문을 통해서 많이 남아있다.

아래 목록은 총망라된 것도 아니고 그냥 잘 알려진 일부 사서에 불과하다. 조선 시대의 기록은 끝이 없다고 할만큼 풍부하게 남아있다. 일제강점기의 조선사편수회가 사료를 모집하다하다 포기한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이다.

(언제 시간나면 이 사서들 속의 단군 관계 기사들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다. [규원사화]나 [환단고기]의 뿌리가 재야가 경멸해 마지 않는 조선 유학자들에 의해서 생성되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기니까 접어놓는다.
삼국사기 / 김부식 / 고려 1145
삼국유사 / 일연 / 고려 1285
제왕운기 / 이승휴 / 고려 1287
해동고승전 / 각훈 / 고려 1215
동명왕편 / 이규보 / 고려 1193
익재난고 / 이제현 / 고려 1363

강계지 / 신경준 / 조선 1756
고려사 / 정인지 외 / 조선 1451
고려사절요 / 김종서 외 / 조선 1452
국조보감 / 정인지, 조경 외 / 세종시절부터 편찬 정조때 완성 1782
규사 / 미상 / 조선 1859
기자실기 / 이이 / 1580
대동야승 / 서거정 외 / 조선
대동장고 / 홍경모 / 조선 1818
기년아람 / 이만운 / 조선 1778
기년편람 / 이만운, 이명진 / 조선 1877
대동유사 / 미상 / 조선
동국문헌비고 / 홍봉한 외 / 조선 1770
동국병감 / 조선 1608
동국사강목조례 / 유형원 / 조선
동국사략 / 권근 / 조선 1403
동국사략 / 박상 / 16세기 초반
동국세년가 / 권제 / 조선 1436
동국야사 / 조선
동국역대총목 / 홍만종 / 조선 1705
동국지리지 / 한백겸 / 1615
동국총록 / 미상 / 조선
동국통감 / 서거정 외 / 조선 1485
동국통지 / 박주종 / 조선 1868
동국통감제강 / 안정복 외 / 조선 1672
동국홍사 / 미상 / 조선
동몽선습 / 박세무 / 조선 1670
동사 / 이종휘 / 조선 18세기 후반
동사 / 허목 / 조선 1667
동사강목 / 안정복 / 조선 1778
동사변의 / 홍경모 / 조선 1848
동사보유 / 정구 / 조선 1646
동사약 / 이원익 / 조선 1851
동사유보 / 조연 / 조선
동사집략 / 김택영 / 조선
동사찬요 / 오운 / 조선 1614
동사회강 / 임상덕 / 조선 1711
문헌절요 / 미상 / 조선 1790
발해고 / 유득공 / 조선 1784
발해세가 / 홍석주 / 조선 1820
사군지 / 유득공 / 조선. 간행은 1910년 조선고서간행회
삼국사절요 / 서거정 외 / 조선 1476
삼봉집 / 정도전 / 조선
성호사설 / 이익 / 조선
순오지 / 홍만종 / 1678
신증동국여지승람 / 서거정 외 / 조선 1531
아방강역고 / 정약용 / 조선
여사제강 / 유계 / 1667
여암전서 / 신경준
역대기년 / 정구 / 1615
연려실기술 / 이긍익 / 조선 1797
연조귀감 / 이진흥 / 조선 1848
응제시주 / 권람 / 조선 1462
이향견문록 / 유재건 / 조선 1862
조선왕조실록 /
증보문헌비고 / 이만운 / 편찬 1791 간행 대한제국 1903
증보역대총목 / 홍만종 / 조선 1706
지봉유설 / 이수광 / 조선 1614
춘관통고 / 유의양 / 조선
택리지 / 이중환 / 1751
표제음주동국사략 / 유희령 / 조선 1550 추정
해동악보 / 이유원 / 조선
해동악보 / 이복휴 / 조선
해동명장전 / 홍양호 / 조선 1816
해동역사 / 한치윤 / 조선 1814
해동이적 / 홍만종 / 1666
호산외기 / 조희룡 / 조선 1844
휘찬여사 / 홍여하 / 조선 1640
희조일사 / 이경민 / 조선 1866
흥왕조승 / 홍양호 / 조선 1799

대동문수 / 장지연 / 대한제국 1906
대동역사 / 정교 / 대한제국 1905
동국역대사략 / 학부편집국 / 대한제국 1899
매천야록 / 황현 / 대한제국 1910
해학유서 / 이기 / 대한제국. 간행은 1955년 국사편찬위원회
대한계년사 / 정교 / 대한제국 1910

발해강역고 / 서상우 / 일제강점기 1925
신단실기 / 김교헌 / 일제강점기 1914
조선사연구초 / 신채호 / 일제강점기
조선상고사 / 신채호 / 일제강점기 1931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박은식 / 일제강점기
한국통사 / 박은식 / 일제강점기

조선사연구 (상하) / 정인보 / 미군정기 1946~1947
조선상고사감 / 안재홍 / 미군정기 1948

핑백

  • 초록불의 잡학다식 : 일제는 20만권의 사서를 태웠나 (97/08/20) 2007-09-26 15:48:34 #

    ... 흔히 하는 착각 중 하나가 우리나라 사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 궁금한 분은 살펴보기 바란다. 재야의 망상사학 2 - 우리나라의 사서 [클릭] 재야사가 문정창의 이력을 추가해 놓는다. 이것은 네이버 백과사전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자료다. 1899∼1980. 역사학자. 본관은 ... more

  • 초록불의 잡학다식 : 우리나라의 역사, 그 미스테리에 대해 [한국사 미스테리 60] 2010-08-17 15:34:44 #

    ... ." "영희는 그런 말 안 했다는데?" "넌 영희가 하는 말을 믿냐?" 어쩌라는 거냐? 그리고 역사서가 달랑 두 권만 남아? 아래 링크를 클릭해 보라. 재야의 망상사학 2 - 우리나라의 사서 [클릭] 60. 한국의 국사의 기초와 체계는 모두 일제시대때 일본에 의해 세워졌다. 현재 고등학교의 국사 교과서 역시 일제시대에 일본에 의해 씌여진 '조 ... more

덧글

  • gaya 2007/03/05 13:02 #

    고려 이전에 쓰여진 게 없다는 걸로 핑계삼는지도 ..--
    환빠들도 조선시대의 역사기록이 많다는 건 알지만 조선에서 쓴 기록들은 사대주의에 사로잡혀 의도적으로 축소해 놓은거라 믿고 있기때문에 암만 사서가 많아도 통하지를 않죠. 고려도 6종 정도밖에 남은 게 없고 성리학자가 쓴 건 위와 같은 이유로 배척하고 있으니..--;;;; (정작 자기들은 거기서 입맛대로 발췌해 써먹으면서 말입니다.)
  • 초록불 2007/03/05 13:12 #

    gaya님 / 역사서가 없을 뿐이지, 고려묘지명집성 같은 것을 비롯해서 사료는 풍부하게 있다고 해야겠죠. 유럽 쪽의 사료도 10세기 경의 것은 별 게 없으니 충분히 자랑스러워 해도(그 사람들의 보통 감성으로 보면) 될텐데 말입니다. 한심해요.
  • luxferre 2007/03/05 13:22 #

    저같은 문외한들은 이름도 못 들어본 사료들이 많군요...
  • 고어핀드 2007/03/05 14:14 #

    저처럼 비교적 역사 쪽 관심있는 사람도 10%도 못 읽었군요.

    ...저 그런데 초록불님, 혹시 삼국사기 괜찮은 판본 있으시면 추천 좀 해주실래요? 소싯적 보던 어린이용 말고 주석이 충분히 달려 있어서 진지하게 공부할 수 있는, 학계에서도 인정되는 책으로요. 원문이 옆에 작게 실려 있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초록불 2007/03/05 14:20 #

    고어핀드님 / 글쎄, 제가 번역본을 일일이 살펴본 것은 아니라서... 다만 듣기로 한길사에서 나온 이강래 번역본이 훌륭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 고어핀드 2007/03/05 15:30 #

    초록불 // 전공자들은 어떤 책으로 공부하는지 궁금해서 드린 질문이었습니다 :D
  • 초록불 2007/03/05 15:51 #

    고어핀드님 / 대개 원문을 보고 공부합니다. 번역본을 참고할 때는 여러 번역본을 다같이 참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아주 엉터리 번역본이 아니라면 큰 문제가 없습니다. 미심쩍은 부분은 원문을 보고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면 되니까요. 논란이 될만한 부분의 문구에는 본래 여러 해석이 존재합니다.
  • 초록불 2007/03/05 15:55 #

    예전에 북한에서 왕조실록 번역이 나왔을 때 선생님과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는데, 이러시더군요. "우리야 원전을 보고 하니까, 별 상관없지. 그런데 그거 일반인들이 읽을만 하다던가?"

    그보다는 이제는 컴퓨터로 검색이 되니까 훨씬 사정이 좋아졌습니다. 조선왕조실록 CD롬이 나왔을 때 허탈해한 박사과정 학생들이 많았습니다. 왕조실록 색인을 뒤져가며 하나하나 찾아낸 것보다 빠르기는 말할 나위 없이 정확도도 높았으니까요.
  • sharkman 2007/03/05 16:32 #

    지금은 조선왕조실록이 쌩으로 온라인 제공되는 시대이니까요...
  • sharkman 2007/03/05 16:34 #

    만의 하나 모르시는 분이 계실지 몰라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 sharkman 2007/03/05 16:38 #

    http://sjw.history.go.kr/main/main.jsp
    이쪽은 승정원일기 인데 아직 번역이 안되어 있더군요. 비전공자에겐 높은 벽이...
  • sharkman 2007/03/05 16:41 #

    http://www.koreanhistory.or.kr/
    이쪽은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다들 아시는 곳이겠지만 혹시나 해서.
  • 초록불 2007/03/05 16:56 #

    재원님 / 뭐 요즘은 웬만한 자료는 인터넷으로 다 검색이 되니까요.
  • 루드라 2007/03/05 21:52 #

    sharkman, 초록불 // 정말 좋은 세상이죠. ^^
  • 아르토리아 2007/03/06 23:37 #

    대동야승은 작자 미상이라고 하기는 좀.. ^^;
    작자 서거정 외 로 표시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요?
    역사서라기보다는 수필집이라 분류상의 애매함도 있는데.. 이건 뭐 관점의 차이일 수 있겠네요.
  • 초록불 2007/03/06 23:39 #

    아르토리아님 / 하긴 이것저것 모아놓은 것이니 그렇게 쓰는 것이 맞겠네요. 고쳐놓겠습니다.
  • 총천연색 2007/03/07 01:07 #

    편해진 세상에 감사. ;~ ;
  • 이루아드 2007/05/23 00:31 #

    규원사화는 원본이 발견된 것으로 들었습니다만 사서라고 하기엔 곤란해서 위의 목록에 없는 건가요? 아니면 원본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거짓이었는지? 그냥 궁금해서 질문남기고 갑니다 ^^;
  • 초록불 2007/05/23 01:09 #

    이루아드님 / [규원사화]는 숙종대 쓰인 책입니다만, 저는 숙종대의 원본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이 책을 소설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근본적으로 이 책을 원본으로 판정한 학자들이 대단히 민족주의 성향이 높았던 분들인지라, 원본이라는 사실 자체에 회의가 좀 있습니다만, 저도 원본을 본 적이 없으므로 그냥 의심만 가지고 있을 뿐입니다.
  • 이루아드 2007/05/23 02:56 #

    초록불//원본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하신 분들이 없는 것 같군요. 혹시 규원사화 원본을 연구한 역사학자나 논문에 대해 아는 것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번거로우시다면 알려주시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아무튼 답변감사드립니다.
  • 초록불 2007/05/23 08:33 #

    이루아드님 / 저도 이야기 들은 바가 없습니다. 규원사화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사학자가 없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역사학자들이 이런 문제에 대해서 너무 등한시하고 있는 증거이기도 해서 답답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권보 2007/10/11 18:41 #

    일본의 드라마작가가 쓴 "패와 후이토"란 책을 보면 백제의 멸망와 일본의 탄생을 시대적 배경으로 하면서, 이때 가카타리란 중신이 일본서기를 집대성하면서 주변국의 역사서를 모두다 불태우는 장면의 묘사가 나옵니다. 그럼 그 시대에 조선삼국, 당, 왜 내부에 있던 많은 역사서들이 소실되거나 은밀히 보관되어있다고 볼 수도 있는 것 아닌가요? 화랑세기도 필사본이 근자에 발견되어 일부가 번역되어 한글로 출간된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 초록불 2007/10/11 21:41 #

    권보님 / 서기 7세기에 일본이 무슨 힘이 있어서 한반도와 중국에 있는 사서를 불태울 수 있겠습니까? 작가는 역사가가 아닙니다. 재미있게 보는 거야 상관없지만 현실과 공상의 경계를 잃어버리시면 초난감입니다...^^;;
  • 권보 2007/10/12 23:55 #

    주변국의 사서를 불태웠다는 것이 왜의 국내에 들어와있는 역사서들을 불태웠다는 것이지, 외국 그것도 그들이 감히 넘보기도 어려운 대국에 쳐들어가서 역사서를 불태웠다는 얘기는 아니지요...ㅎㅎㅎ
  • 초록불 2007/10/13 00:42 #

    권보님 / 그 나라들에 사서가 버젓이 있는데 지네 나라에 있는 거 태워버리면 뭐하겠어요? 눈가리고 아웅이죠.
  • 권보 2007/10/15 09:31 #

    그렇죠 당연히 지내집에 있는 남의집 역사서 불태워봤자지요., 그러나 그 눈가리고 아웅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해야하는 시대적인 절대절명의 명분이 있었겠지요.
  • 초록불 2007/10/15 10:35 #

    권보님 / 역시 소설과 역사를 구분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그렇게 불태웠다는 소설 이야기에서

    그럼 그 시대에 조선삼국, 당, 왜 내부에 있던 많은 역사서들이 소실되거나 은밀히 보관되어있다고 볼 수도 있는 것 아닌가요?

    라는 이야기가 왜 나오는지 저는 도통 이해할 수 없군요.
  • 열사 2009/02/12 02:33 #

    고려와 조선의 유학자들,임금들이 얼마나 중국에 사대했는지 아시는 분들이 그때의 역사서를 고지 곧대로 믿으시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고대사 관련 제대로 된 역사서가 있으면 알려주시면 좋겠네요
    일제가 왜 삼국사기,삼국유사만 남겨 뒀을까요?
    사이토 총독의 신 교육 칙어,조선시대 수서령 등을 보면 님들이 그렇게 가짜라고 주장하는 우리 고대사와 자료들이 왜 없는지 알수 있지 않나요?
    가능성을 열어두지 않고 한쪽 생각으로만 보니 모든게 부정적으로 보이지는 않는지 모르겠네요.
  • 초록불 2009/02/12 02:57 #

    읽어는 봤는지 궁금하군요. 저 위에 나열된 책 중 읽어본 게 뭐 있는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보기 바랍니다.
  • 초록불 2009/02/12 02:59 #

    아, 그리고 그 알지도 못하고 지껄이는 "일제가 왜 삼국사기,삼국유사만 남겨 뒀을까요?" 같은 질문을 하고 다니는 걸 창피하게 여기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 사랑 2010/02/17 17:17 #

    저 이 글을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정인보선생의 조선사연구도 없네요......
    한학자이고 조금 객관적이지 못하고 미흡한 책이긴하나 어찌되었든 역사서이니 참고하시고 많은사람들이 들러주는 공간이니 개재해주시면 어떨런지요:? ㅎ
  • 초록불 2010/02/17 18:49 #

    넣었습니다.
  • 선무공신 2011/08/05 22:18 #

    초록불님,오늘은 조선상고사를 읽었습니다.신채호가 요사스런책들(환단고기,규원사화)에 대한 평론은 아무것도 안보이고,대신에 대단군조선과 삼조선을 읽었죠.
    대단군조선을 읽을때,단군왕검 아들 단군부루가 나왔습니다;

    근데,단군부루라는 사람은 환단고기나 규원사화에 나옵니다.

    신채호는 어디서 '단군부루'라는 이름을 들었습니까?
  • 초록불 2011/08/05 22:28 #

    단군의 아들 부루는 이미 <삼국유사>에 그 이름이 나옵니다.

    삼국유사 제2편 기이 고구려 조에 보면,

    <단군기>에는 단군이 서하 하백의 딸과 관계하여 아들을 낳아 이름을 부루라 하였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 객관적진리추구 2011/09/21 12:52 #

    저기 초록불님...
    혹시

    "신단실기 / 김교헌 / 일제강점기 1914"

    이것도 역사서로 보긴 보나요?ㅜ.ㅜ

    환단고기나 규원사화 화랑세기와 같이 논란이 많은 책이 아닌지요...
  • 초록불 2011/09/21 13:51 #

    위서는 서지 관계가 잘못된 책이니까요. 이건 연대와 지은이가 확실한 책입니다.
  • 2011/09/21 15:06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1/09/21 15:23 #

    유사역사학의 정체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위험성을 모르고 같은 일을 하는 동네라 생각하기도 하지요.
  • 객관적진리추구 2011/09/21 15:27 #

    아.....진짜 감동입니다....
    하마터면 괜한 동북아역사재단도 제 생각으로 매도(?)시킬려고 했었습니다...
    좋은 답변 정말로 감사합니다^^
    많은 것을 배우고 갑니다. 나중에 이글루스 모임에 오셨으면...ㅋㅋ
    제가 저번에 갔을 때는 안 오셔서....ㅠ.ㅠ 야스페르츠 님도 바빠서 안 오셔서...ㅜ.ㅜ
  • 2011/12/28 23:50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1/12/28 23:54 #

    글쎄요. 사료는 역사관이 선 뒤에 봐도 늦지 않습니다. 병행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 경언o 2011/12/29 00:23 #

    그런데 북부여를 세운 해부루 (동부여엿나 ... ㅠㅜ)와
    단군의 아들인 부루는 동명이인 인가요 ??

  • 초록불 2011/12/29 10:09 #

    그렇겠지요. 동일인물로 본 사람들도 있긴 합니다.
  • 2011/12/29 11:50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1/12/29 11:52 #

    글쎄요...
  • 경언o 2011/12/29 12:05 #

    ㄷㄷ...ㅠㅠ?
    그런데 이성계의 "조선"은 명나라의 주원장에의해
    지어진 이름이라는 것의 진실을 아시나요 ??
  • 초록불 2011/12/29 13:46 #

    낙점을 받은 거긴 하지만 지었다고는 할 수 없죠.
  • 무식한 순록 2013/05/14 23:48 #

    여기에 명시된게 일부라면....(그것도 30분만에 찾으신거라니...) 지금까지 확인된(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것도 포함)사료, 역사서 전부 나열하려면 A4용지 몇장이 필요하겠네요?
  • 초록불 2013/05/15 10:15 #

    그렇겠지요. 얼마나 더 필요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사료라고 하면 굉장히 많아지니까요.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유사역사아웃

2017 대표이글루_history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