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바로님의 주장에 대해서 *..문........화..*

외래어 표기법 - 중국 2 [클릭]

재반론을 내놓으셨네요. 이제부터는 각자 입장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사실 똑같은 이야기가 되풀이될 수 있습니다. 다만 바로바로님이 여전히 오해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포스팅하기로 합니다. 아래 글 중 파란 부분은 바로바로님의 글입니다.

1. 중국인은 성조가 없어도 한국 사람이 외래어 표기법에 적은 발음으로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들을 수 있다는 바로바로님의 주장에는 사실 동의할 수가 없습니다. 이미 적었지만 제 개인적인 경험도 그렇고, 중국에서 유학한 후배들(저는 사학과 출신입니다)의 이야기도 마찬가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베이징 정도는 알아듣겠지요. 미국인이 "쎄울"이라고 발음해도 "서울"로 알아들을 수 있듯이 말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말을 논리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현지 발음을 익히기 위해 드는 수고가 불필요하기 때문입니다"라고 하셨지만, 중국인들이 한국식 발음을 알아듣는다고 하였고, 지금 현재 교육대로 배우면 현지 발음을 두번 익히는 것이 아닌, 곧장 현지 발음을 익히는 것입니다.

라고 하셨는데, 저는 위 따옴표에 나오듯이 현지 발음을 익히기 위해 드는 수고가 불필요하다고 했을 뿐, 발음을 두 번 익힌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것도 "현지 발음을 두 번 익힌다"라고 이해하신 것은 대체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네요. 현지 발음이라는 것이 두 가지가 아닌데 어떻게 현지 발음을 두 번 익힐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바로바로님의 개인적인 견해] 1번 항목과 혼동을 일으켜서 잘못 적으신 겁니다. 상대방이 하지 않은 말을 했다고 말하면 매우 곤란합니다.

2. 외래어 표기법의 격음, 경음 배제 법칙이 잘못 되었다는 점에서 의견이 일단 일치했군요. 바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이 그런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겁니다. 누군가는 "짱구워롱"이라고 쓰고, 누군가는 "장궈롱"이라고 씁니다. 분명히 또 누군가는 "짱궈롱"이라 쓸 것이고, 또 누군가는 "짱구워롱"이라고 쓰겠지요. 이런 표기야말로 인터넷 시대에 검색의 걸림돌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장국영이라고 쓴다면 아무도 틀리지 않을 것입니다.

3. 마르세이유, 베르사이유가 외래어 표기법 상의 프랑스 지명 표기입니다만, 프랑스에서는 알아듣지 못하는 발음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외래어 표기법은 우리가 알기 위해서 적는 것이지 외국인이 알아들으라고 적는게 아닙니다.

동시에 알 필요가 없답니다. 그냥 산시성만 알면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산시성으로 교육을 시키고 있고요. 님과 같이 어느 정도 연배가 있으신 분들에게는 두가지가 다르게 보이시겠지만, 젊은 축은 처음부터 산시성으로 배운답니다. 두번 배우는 것 아니죠. 물론 그 연배분들은 두번 공부해야되는 수고는 부정하지 않겠습니다.

예를 들어 드리지 않아서 이해를 못하신 것 같습니다. 제가 쉬운 예를 들어드리죠. 베스트셀러가 나오면 흔히 하는 말이 "낙양의 지가를 올렸다"라는 겁니다. 자, 우리 아이가 이 고사를 공부하고 "아빠, 낙양이 어디야? 사회과부도에 안 나와."라고 이야기하면 저는 이렇게 알려줘야 하겠지요. "응, 낙양은 중국의 뤄양이란다. 중국지도에서 뤄양을 찾아보렴." 바로바로님 의견을 따르자면 우리는 "뤄양의 지가를 올렸다"라고 말해야 하는 것이겠습니다. 또는 [삼국지]를 보면서 "조운, 자는 자룡이며 산서성 상산 사람이다."라는 대목은 "조운, 자는 자룡이며 산시성 (상산은 뭐라 읽는지 모릅니다) 사람이다"라고 읽어야 하겠습니다. 하나만 알면 해결이 됩니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타를 생각해 보시죠. 너무 쉽게 그런 오타를 낸 이유가 과연 외래어 표기법과 무관할까요? 인터넷을 검색해보시면 토요토미 히데요시도 상당히 많은 사이트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이 인터넷 시대에 검색을 약화시키는 일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으신지요?

잘 모르는 상대방을 도그마를 가진 사람으로 쉽게 판단하시는군요. 한자숭배주의자라는 것이 있는지 모르겠는데, 제 글 안에서 한자라도 발견하시고 그런 말씀을 하신 건가요? 한자와 한글을 놓고 어느 것이 우수하네, 마네 하는 것은 적절한 행동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한자와 한글은 문자의 구성원리 자체가 다른, 한쪽은 표의문자고, 한쪽은 표음문자니까요. 또한 바로바로님이 거론하시는 한자음이라는 것은 말씀하신대로 "언어"이고 "한국어"입니다. 때문에 저는

한자음을 보호해야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라는 말은 대체 왜 나온 것인지 알 수가 없군요. 韓이라는 글자를 우리가 "한"이라고 발음하는 것이 "한자음을 보호하는 것"이라는 이야기입니까? 落陽을 낙양이라고 읽으면 한자음을 보호하는 것입니까? 이건 도무지 일 수 없는 논리군요. 그럼 한자음을 보호할 필요가 없으니 앞으로는 우리나라에서도 落을 "뤄"로 읽어야 한다는 뜻입니까? 그리고 천 년 전의 외래어 규정이라... 천 년을 썼는데도 그게 우리말이 아니라는 겁니까? (천 년이라는 건 그냥 오래되었다는 뜻이겠죠? 세종때 中을 "듕"이라 읽었는데, 그때부터 세어도 천 년은 어림도 없죠?)

한국의 수도는 서울입니다. 일본 및 다른 서양세계에서는 다들 서울이라고 부르죠. 하지만 중국에서만은 "한청"(한국음으로는 한성)이라고 불렀습니다. 요즘에 서울시가 계속 적으로 요구해서 지금은 "서울"이라고 부르고 있죠. 만약 님과 같은 생각을 가진 분들이라면 중국에서는 서울을 계속 한청이라고 불러야 옳은 것이겠지요. 하지만 한청이라고 부른다면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기분 나빠합니다. 님도 그런 기분 못 느끼셨습니까? 이와 같이 해당지역 언어 위주의 외래어 규정은 해당 지역의 사람들을 존중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죄송하지만, 저는 중국인들이 뭐라 부르건 기분 나쁘거나 말거나 할 일이 없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옳고 그르다라는 가치평가가 들어가는 이유도 잘 모르겠습니다.

만약 중국인이 한국에 와서 제게 "한청" 어쩌고 이야기하면 저야 못 알아듣겠죠. 그건 중국인이 바보라서 그런 거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제가 중국에 가서 "북경"이라고 중국인들에게 이야기하는 거나 마찬가지 아니겠습니까? 중국에 가면 중국어로 이야기해야 할 것이고 (중국어를 모르면 통역을 부르던가, 영어를 하는 중국인을 찾아야 하겠죠. 뭐,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지엽적인 것이니 생략합니다. 해외 여행 이야기를 하는 건 아니니까요.) 중국인들이 한국인과 아무 관련도 없는 곳에서 "서울"이라고 부르고 있다고 해서 그게 한국인을 존중하는 건지 저로서는 영 동의할 수 없는 이야기입니다.

제 아래 포스팅에 트랙백 되어 있는 講壇走狗님의 외래어 표기법 옹호론을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주장하시는 바에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덧글

  • rumic71 2007/12/02 02:23 #

    중국인은 그렇다치고... 일본인 이름은 한국식으로 읽기가 무척이나 껄끄럽습니다. 일본인이 한자를 음독만 한다면 한국식으로 부르자고 해도 별 무리는 없겠지만. 기실 훈독 음독이 마구 뒤섞여서 제멋대로입니다. 거기에 한자로는 표기되지 않는 경우도 적잖이 있구요.
  • 초록불 2007/12/02 02:25 #

    rumic71님 / 뒤죽박죽이니까 우리 발음으로 읽는게 낫지 않을까요? 사실 역사학자들도 대부분 일본 천황 이름은 한자음으로 읽더군요.
  • 좌백 2007/12/02 02:31 #

    1. "지금 현재 교육대로 배우면 현지 발음을 두번 익히는 것이 아닌, 곧장 현지 발음을 익히는 것입니다." 라는 말씀은 아마도 동일한 사물을 (예를 들어 山西) 산서라고도 배우고 산시라고도 배워야 하는 이중의 수고를 말씀하시는 것 같군요. 그런데 두 번 배울 이유가 있습니까? 중국어 배울 이유가 있는 사람들 외에는 그냥 산서라고 한 번만 배우면 됩니다.

    3. 다시 산시성 문제로 돌아가서... 山西省이라는 글자를 보고 '산시성'이라는 발음을 떠올릴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좀 의문스럽군요. 중국인에겐 안 그렇지만 (어쩌면 중국어 배운 분들에게도 안 그럴지 모르지만) 보통 한국인에겐 저 글자와 발음을 연관시킨다는 게 어렵지 않을까요.

    뭐 사실 전 외래어 표기법에는 별 관심이 없지만 장구어룽이라고 부르건 장국영이라고 부르건 상관없으니 옆에 한자나 좀 병기해 달라고 부탁하고 싶어요. 영어나 다른 외국어 단어들도.
  • 서군시언 2007/12/02 02:32 #

    중국어는 확실히 동의하지만, 일본어는 한국식으로 쓰는 것 보다 그냥 일본어 발음 비슷하게 쓰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외래어 표기법을 조금만 고치면 일본어를 쓰기에 더 편하지 않을까요?
  • 좌백 2007/12/02 02:39 #

    별 상관없는 사례들일지도 모르지만...

    1. 전에 중국 갔을 때 방송국 현관에 큰 편액이 있는데 누군가의 방명록을 그렇게 만들어 놓은 것이더군요. 胡錦濤라는 사람이 왔다갔나 봅니다. 한자를 잘 모르는 일행이 물어봐서 호금도라고 읽어주고는 호금도가 대체 뭐 하는 사람인데 이렇게 자랑스러워하나 한참 고민하다가 문득 언젠가 기사에 한자 병기된 걸 본 기억이 나서 이 호금도가 바로 후진타오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2. 김용옥이 극단적인 현지발음 주의자더군요. 어느 책을 읽는데 사람 이름을 '공쯔', '꽌위'...다 이런 식으로 써놔서 (한자 병기도 안 하고) 책에 거명되는 사람 대부분을 알아볼 수 없었던 일이 있습니다. 저 공쯔가 사실은 공자고 꽌위는 관우라는 걸 알아볼 독자가 몇이나 된다고 그런 만행을...-_-
  • 초록불 2007/12/02 03:07 #

    좌백님 / 김용옥은 노자도 중국어로 읽으면서 부지커따오...어쩌고 하던 위인입니다.
  • 루드라 2007/12/02 03:39 #

    중국 표준어(북경어)에서는 "ㅈ"과 "ㅉ"의 발음이 같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즉 張이우리 귀에는 주로 짱으로 들리더라도 실제 그 사람들은 장과 짱 둘 다 발음합니다. 둘을 구분 할 줄도 모르고요. 우리는 장으로 발음할 때와 짱으로 발음 할 때가 다르게 들리지만 실제로 그 사람들이 발음하는 건 같은 소리입니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그 둘 중에서 장을 대표로 인정하고 그걸로 표기하는 거고요.
  • 루드라 2007/12/02 03:43 #

    김용옥은 부인되는 최영애씨랑 같이 CK시스템이라는 자기들만의 중국어 표기법을 만들어서 사용하더군요. 그 사람의 극단적인 현지발음 주의나 자기들만의 표기법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건 별로 좋게 보이진 않더군요. CK시스템이라는 게 현재의 중국어표기법보다 더 나은 걸로 보이지도 않고요.
  • damekana 2007/12/02 05:18 #

    서로 다른 두 외국어인 중국어와 일본어의 경우를 한꺼번에 이야기하고 계신 이유는 한국한자음이 기준이 되는 편이 좋겠다고 생각하시기 때문인 듯 합니다만, 두 가지는 나누어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두 가지가 차원이 다른 별개의 문제라는 생각입니다. 중국어의 경우에는 생각할 수록 복잡하군요. 생각이 정리되면 따로 포스팅을 해야 겠습니다.

    다만 일본어의 경우, 한자가 있는 경우는 한국한자음으로 읽고 한자가 없는 경우에는 따로 원칙을 만들어 대응한다는 것은 일관성이라는 부분에서 좀 문제가 있지 않을까요. 일본 고유 명사의 경우 한자는 원음에 끼워 맞춘 일종의 기호같은 느낌이라서 오히려 한국한자음을 포기하고 원음을 따르는 편이 일관성있고 타당한 표기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경음,격음의 문제는 그 다음 단계의 세부사항이 되겠고, 표기해 놓은 발음이 얼마나 원어 발음에 가깝냐, 현지인이 알아 듣느냐는 사실 한국사람이 신경쓸 일이 아니겠지요.

    일본천황 이름을 한국한자음으로 읽고 있는 한국의 역사학자들이 있는 듯 하지만, 대부분은 독음을 확인하기 귀찮아서 (그러니까 몰라서), 알면서도 그냥 관행이니까 (별나게 군다고 손가락질 받기 싫어서), 글에서는 한자로만 적어 놓으면 되니까 그러는 게 아닐까 하는 의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바른 자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고전압 2007/12/02 10:01 #

    저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현행 표기법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개는 고람거사님의 어제 날짜 포스팅과 동일한 이유고요.
  • 소하 2007/12/02 11:12 #

    영어 같은 경우야 역사적으로 근대에 들어온 것이므로, 원발음을 따르는게 문제가 없을겁니다.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한국은 한국 고유의 한자음이 있습니다. 그걸 무시하고 현지 발음을 따른다는 것은 혼란만 가중될 뿐이라고 생각됩니다. 고유의 문화적 환경을 무시하는 이런 정책(?)은 저도 반대합니다.
  • 소하 2007/12/02 11:20 #

    우리 나라의 단어들 중 한자와 관련된 것이 얼마나 될까요? 대략 70%로 보나요? 국가, 민족, 정책, 공개, 대한민국, 전투, 역사, 문화, 문명등 대부분이 한자들이지요. 그렇다면 이런 것도 중국음을 따라야 할까요? 한자음을 이중으로 배워야 한다는 말인데, 뭐하자는 걸까요? 김용옥..OTL입니다.
  • 버닝버닝 2007/12/02 11:35 #

    사람 이름이라면, 신해혁명을 기준으로 신해혁명 이전은 관우, 장비 등으로 표기하고, 이후는 마오쩌뚱, 저우언라이 식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음... 그러고보니, 지명은 정말 어떻게 표기해야하는지 난감하네요. (작년에 수능을 친 햏...)
  • 버닝버닝 2007/12/02 11:37 #

    그리고 김용옥씨의 발음에 대해서라면, 그저 현학적이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쩝.
  • 2007/12/02 11:53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루드라 2007/12/02 11:56 #

    소하 // 지금 초록불님이 말씀하시는 것도 그렇고 반대의견을 말씀하시는 분들도 그렇고 모두 고유명사에 한정해서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른 한자어를 원발음으로 읽자는 것이 아닙니다. 한자음을 이중으로 배울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 초록불 2007/12/02 12:55 #

    루드라님 / 반대 의견을 말하시는 분은 일반 한자음도 모두 중국 한자음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같습니다. 아니면 자기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고 있거나...
  • 초록불 2007/12/02 12:57 #

    버닝버닝님 / 백번을 양보해도 지명까지 중국 발음으로 읽는 것은 동의할 수가 없습니다...^^;;

    비밀글 / 처음 이야기와 논지가 달라져 버렸군요...^^;;
  • 소하 2007/12/02 15:20 #

    루드라/ 아! 고유명사만을 말하는 것이군요...

    고유명사라도 이중으로 배워야 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군요. 고유명사를 다 중국음으로만 외울수는 없지 않습니까.. 좌백님처럼 한자=중국음이 매치가 안된다고 하시는 것처럼요. 너무 혼동되는 것이 많군요. 일례로 "고구려"는 중국의 기록에 먼저 보이는데, 그럼 이것은 어느 나라의 음을 따라야 하는 걸까요?
  • 루드라 2007/12/02 18:05 #

    소하 // 지금 저를 포함해서 중국 원음 주의를 주장하는 모든 분들의 주장은 신해혁명 이후의 중국 고유명사에 한하여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고구려는 중국어도 아니고 신해혁명 이후는 더더욱 아니니 복잡하게 생각할 이유가 없습니다. ^^:

    일단 좌백님께서는 한자와 중국음이 매치가 안 된다고 하셨고 그건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경우 과연 우리가 후진타오의 한자를 알 필요가 있느냐는 것입니다. 중국 전문가나 뭔가 필요성이 있는 사람을 제외하고는 그냥 후진타오로 알면 된다는 거죠.

    왜 중국원음 표기를 주장하는 지는 아래 글의 트랙백으로 고람거사님께서 올려주신 훌륭한 글이 있으니 제가 구질구질하게 설명을 덧붙일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 소하 2007/12/02 20:15 #

    루드라/ 아! 또 제가 이해를 잘 못했군요. 신해혁명 이후~~~ 사람마다 다 생각하는 바가 틀리겠지요. 우리의 전통을 져버리고 성조없이 음만 따라서 한다는 것이 저는 약간 이상합니다.

    바로바로님이 주장은 거기에서 더 나아가 당시의 음을 따르자는 것이네요. 이건 정말 비상식적인 말.... 세계의 언어를 모두 바꿔버리자는 말... 이유가 ???
  • 버닝버닝 2007/12/02 23:07 #

    초록불님, 그런데 중국 지명을 중국음대로 표기하면, 좋은 일이 하나 있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진주, 평양'등을 한국 지명에 대입하는 찌질한 짓들은 '조금이나마' 줄어들것 같은데요. (...)
  • 초록불 2007/12/02 23:24 #

    버닝버닝님 / 그들은 그런데 굴하지 않습니다. 정부가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수작을 부리고 있다고 주장할 겁니다.
  • Scott 2008/02/26 09:31 #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고 말한다면 적어도 그분들은 증거를 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음모론자 분들 의견을 싸그리 무시하는건 아니지만 증거가 없이 그렇게 말씀들을 하시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이 되더군요.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유사역사아웃

2017 대표이글루_history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