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되었다 만들어진 한국사

같은 계열사인 [신동아]에서는 환단고기를 추켜 세우느라 눈이 벌겋더니, [과학동아]가 점수를 만회하고 있다.

이번 12월호 과학동아에 실린 기사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되었다]는 소남천문학사연구소 전용훈 박사가 쓴 글이다. (서울대 천문학과 졸업, 서울대 대학원에서 전통과학사로 박사 학위를 땄다고 한다.)

한 대목을 옮겨 본다.

수년 전에 국내의 한 천문학자가 단군시대의 역사를 기록했다고 알려진 [단기고사]와 [단군세기]에 있는 "기원전 1733년에 오행성이 루婁수에 모였다"는 기록을 검토했다. 그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원전 1734년에 실제로 오성취합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는 단지 1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계산 결과로 볼 때, 앞의 기록은 단군시대의 사람들이 실제로 관측한 기록이며, 이 때문에 조작된 역사서로 치부해온 두 책이 모두 믿을 만하다고 주장했다.

전용훈 박사는 이 주장이 왜 잘못 되었는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1. 오성취합은 이미 5세기 경에 발생 시기를 계산할 수 있었던 천문현상이다.
2. 과거 사서에 있는 자연현상에 대한 기록은 당대 사람들에게 의미있는 현상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기록된 것이다.
3. 오성취합이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현상이 된 것은 후한대의 일이다.
4. 따라서 위 사서에 적힌 오성취합의 기사는 그 중요성이 알려진 이후의 후대에 삽입된 것이다.

일찍이 어느 국수주의자는 이런 주장을 했다. 천문학자의 주장은 천문학자만 반박할 수 있다고. 주장 자체가 웃기는 일이지만 이제 천문학자가 반박했으니, 그 국수주의자는 과연 입을 다물까? 물론 그럴 리가 없지...

핑백

  • 초록불의 잡학다식 : 우리나라의 역사, 그 미스테리에 대해 [한국사 미스테리 60] 2010-08-17 15:10:14 #

    ...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되었다 [클릭]</a> 18. 백제의 인구가 고려나 조선초의 인구보다 많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지리지의 각도별 인구를 합산한 뒤에 내놓은 결론이다. 그렇게 세면 조선 시대 인구가 형편없이 줄어든다. 이 부분에서 이해가 안 간다고 하는 분이 있는 것을 보았다. 생각해보니 그럴 수도 있겠다. 세종실록지리지 경기편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요즘은 왕조실록 검색이 웹에서 되니까 한번들 찾아보라.) "호수가 2만 ... more

덧글

  • Silverfang 2007/12/11 13:56 #

    옮기신 대목에 오타...
    1734년이 아닌지요?
  • 講壇走狗 2007/12/11 13:59 #

    《사기 천관서》에 오성취에 대한 기록이 처음 등장합니다만, 사실 천관서는 조기에 일실된 뒤 나중에 새로 쓰여졌을 가능성이 점쳐지는 부분이라서...
  • 초록불 2007/12/11 14:08 #

    Silverfang님 / 오타 맞습니다. 수정했습니다.

    講壇走狗님 / 예, 여기에도 그렇게 나오네요. - '사기'의 '천관서'가 후한 때에 만들어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 2007/12/11 14:11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07/12/11 14:14 #

    비밀글 / 오타 남발이군요...^^;; 수정했습니다.
  • 2007/12/11 14:39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파파울프 2007/12/11 14:58 #

    천문에 대해서는 워낙에 아는바가 없는지라 뭐라할 수 없었는데 이제 천문학자가 나서서 엉터리라고 이야기 했으니... 하지만 그들이 변할리는 없죠. 천문학자를 어용 매국 학자로 매도하면 모를까 순순히 인정할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 야스페르츠 2007/12/11 16:32 #

    오와... 드디어 전가의 보도마저 완전히 닳아 없어지게 생겼군요... 어차피 칼자루만 가지고도 진검이라고 공갈치는 작자들이니 별 상관 없겠지만...
  • 사과향기 2007/12/11 17:32 #

    ㅋㅋㅋ 그랬군요. 제가 직접 시뮬모델 맹글끼라고 했던 적 잇는데 실패... 그래서 이걸 어떻게 봐야하나 헤멧는데 3번 내용을 보니 헛고생했단 생각이 ㅋㅋㅋ 야튼 초록불님께 감사...
  • 고전압 2007/12/11 18:28 #

    신동아가 유독 동아 내에서 '이단'인 겁니다(월간지의 선정보도야 뭐...). 동아일보 자체도 대단히 탈민족주의적 태도를 견지하고 있고, 특히 과학동아의 경우 몇 년 전에 (역사스페셜이 막장화되지 않았던 시절에)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편을 반박하면서 개념을 보여준 바 있습니다.
  • 초록불 2007/12/11 18:59 #

    고전압님 / 전 사실 과학동아를 좋아하는 편입니다. 김종호가 막장테크 타기 전에 과학동아 연재글들도 잘 보았었지요.
  • 성큼이 2007/12/11 19:48 #

    사실 제가 몇 달 쯤 과학동아 만드는 동아사이언스에서 일했었죠 ^^; 회사 분위기 좋습니다.
  • rumic71 2007/12/11 20:38 #

    사실은 神東亞 였던 게지요.
  • 도원 2007/12/11 21:43 #

    전용훈 박사가 천문학을 전공했다고 말하는 것은 정확한 표현은 아닙니다. 서울대학교 천문학과에서 학부 과정을 마쳤다고 표현해야 정확한 표현일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ㅇㅇㅇ학문을 전공했다고 말하는 것은 박사 학위를 땄을 때에 하는 표현이 아닐까요?
    또 하나, 전통 과학사를 전공했다는 것도 이상한데요, 과학사도 역사학의 일부니까 당연히 전통에 관해 연구를 하는 것이겠죠. 제가 알기로는 전용훈 박사는 조선시대 후기 서양 과학의 도입에 관해 연구해서 박사 학위를 땄습니다. 그러므로 조선시대 과학사라고 말하면 맞을 듯합니다.
    사실 인문학이란게 말꼬리 잡기하면 끝이 없습니다. 전용훈 박사의 의견도 논리적으로 볼 때, 기본적으로 고조선의 천문학이 중국의 천문학 전통을 따르고 있다고 가정하고 있거든요. 사실 환빠들이 그렇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하면 나가리가 되지 않을까요? 참 딱한 상황이지요.
  • 초록불 2007/12/11 21:55 #

    도원님 / 약력에 해당하는 부분은 과학동아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온 것입니다. 도원님 말을 따르면 대학원을 천문학과에서 나오지 않은 건가 본데, 대학원은 역사학과를 나왔단 말씀입니까?
  • 초록불 2007/12/11 21:56 #

    아, 그리고 환빠들은 뭐라 이야기하건 귀를 막고 안 들린다, 라고 말하면 그만이니까 별 상관없습니다. 다만 일반인들이 환빠 말에 솔깃해서 박사가 한 말을 니가 왜 반박해? 라고 되물을 때가 있기 때문에 그 반박이 될만한 이야기가 나온 것에 반가워 하는 것입니다.
  • 숫자 2007/12/11 22:36 #

    웅.. ..저렇게 말해줘도 .... "그럼 그거 말고 딴거" 라고 말들을 하니......
    그렇게 논파를당한것도 화제를 딴것에 돌렸다가 슬그머니 다시 들고 나오기도 하죠..
    제발 누군가 환빠중에서 지도자가 나와서 그들을 대변했으면 좋겠습니다.
    환빠도 세력을 통일해서 통일된 주장좀 했으면 그 주장만을 다루면 될 것인데..
    이놈저놈 이말저말 모두 제 말이 맞다고 우기면서 한단고기가 사실이라고 그러니.. ....
  • damekana 2007/12/11 22:58 #

    전용훈 선생은 서울대 과학사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박사를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과학동아에운주사 천불탑 관련 기사를 쓴 것도 전용훈 선생이었다고 들었습니다.
  • Shaw 2007/12/11 23:27 #

    환빠들이 미는건 구체적으로 뭐 전공했고 이런거 전혀 상관없이 그저 학벌+슈퍼컴퓨터.

    이 중 "슈퍼컴퓨터" 가 환빠들의 정신 구조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초록불 2007/12/11 23:39 #

    damekana님 / 가방끈이 짧은 관계로, 잘 못 알아듣고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대학원이란 대학과는 많이 다른 구조를 가진 모양이군요.

    Shaw님 / 슈퍼 컴퓨터라... 이건 참...
  • damekana 2007/12/12 06:19 #

    서울대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이라는 학위 과정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학부는 없고 과학사나 과학철학을 전공하는 석사 박사 과정만 있는 프로그램이지요 (요즘도 그런지는 자신이 없군요). 학부에서 자연과학이나 인문사회과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모여들어서 말 그대로 과학사나 과학철학을 공부하는, 약간은 특이한 전공입니다.
  • 초록불 2007/12/12 10:02 #

    damekana님 / 그렇군요. 바람직한 일입니다.
  • 고전압 2007/12/13 16:54 #

    요새는 어느 학문이든 학제간 연구가 대세라고 알고는 있었지만, 인문학에서도 다양한 과정들이 있군요.

    저희 포항공대 같은 경우에는 학부와 동일한 과목의 대학원들에 추가로, 철강대학원, 시스템생명공학부 대학원, 환경공학부 대학원 (후자의 두 개는 화공과가 중심이고 생명과 물리과 등등 제학문이 참여. 철강대학원은 학제간 연구인지 독립 과목인지 어떤지 모르겠음)이 있습니다.
  • Dataman 2007/12/19 07:59 #

    흠흠... 저도 학부때 이 양반에게 과학사 강의를 들은 적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천문을 하셨던 분이로군요. 위 과학사-과학철학 협동과정은 제가 학부 다닐 때는 없어지냐 마냐 했던 것 같은데, 협동과정들이 대체로 인기가 있는 편은 아니죠.
  • 천자의검 2007/12/21 16:24 #

    그냥 개인적인 호기심에 물어보는건데 이 글을 보면 5세기 경에 이미 오성취합의 시기를 계산할수 있다고 나오는데 혹시 그 계산법에 대해 좀 알수 있나요? 인터넷에 검색해서 알아볼라고 했는데 영 계산법을 구할수가 없네요. 계산법이 정리되어있는 사이트라도 알고 계시면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1080p 2007/12/24 10:29 #

    그냥 식민사관 찌질 ㅄ글이네 이딴 글 올린 너도 참 ㅄ이다 ㅉㅉ
    고람거사 짝퉁이냐?
    디씨 역갤로 좀 꺼져라 ㅄ
  • 초록불 2007/12/24 10:54 #

    1080p / 축 당선! 이 블로그의 댓글 금지 두번째 블로거에 당첨된 것을 경축 드립니다. 더불어 환빠들은 어떤 논리적인 이야기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것을 만백성에게 널리 알려준 점에 감사드립니다.
  • 곰돌이 2007/12/29 17:05 #

    뒤늦은 덧글입니다만 ...
    전용훈 박사님이나 박창범 교수님 모두 소남천문학사 연구소의 임원입니다. 위 내용은, 박교수님이 결과를 내놓고 그 해석에 대해 사학계로 바통을 넘기셨는데 그 대답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듯합니다. (저런 글이 나왔다면, 비슷한 주제로 논문이 발표되었을 듯도 합니다만 ...)

    P.S.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어느덧 '수퍼 컴퓨터'가 된 것인가요 ...
  • 에로거북이 2008/05/27 12:22 #

    중학교때 한단고기를 읽고 환빠 노릇하면서 중고등학교 역사선생님이랑 싸우고(!) 하던 기억이 새롬새롬 나는군요. ㅎㅎ ( 무려 임승국 역주 한단고기 1판 1쇄 입니다. 앞으론 이 녀석도 일종의 희귀서적 취급을 받을 수 있을지도 )

    지금은 그 쪽 주장을 거의 믿지 않습니다만 ,

    그래도 그 중에도 오성취루만은 '이건 뭔 가 생각 해 볼 만하다' 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 물론 오성취합 때문에 한단고기가 전부 옳다 고 주장하는건 절대 아닙니다. )


    오성취루론 비판 잘 읽었습니다만, 전 박사님 주장중에 몇 가지 의심되는 것 간단히 적어보려고 합니다.



    1. 오성취합은 이미 5세기 경에 발생 시기를 계산할 수 있었던 천문현상이다.

    -> 전 박사님은 오성취합을 후대의 누군가가 역으로 계산해서 집어넣었을 것이라고 보시는데,
    그럼 그 주체가 누구인가요?

    고대의 천문학은 상당한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는 학문이므로 천문학자 그것도 아주 실력있는 천문학자 아니면 저걸 계산해서 집어 넣기 힘들 것입니다. 그렇다면 소위 한단고기를 만든 사람들은 천문학자인것인가요?


    2. 과거 사서에 있는 자연현상에 대한 기록은 당대 사람들에게 의미있는 현상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기록된 것이다.

    3. 오성취합이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현상이 된 것은 후한대의 일이다.

    -> 오성취합이 정치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이 후한대 일이라는 것은 좀 납득하기 힘든 주장입니다. 오행성은 중국 뿐만 아니라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마야문명등 모든 문명에서 이미 최소 3-4천년전 ( 기원전 1-2천년전 ) 부터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 오행성이 한 곳에 모이는 현상이 어떻게 중요하지 않게 보일까요? 다만 문헌에 "그 의미를 명확하게 재해석해 놓은 근거가 처음으로 발견되는 시점이 후한대"일뿐 오행성이 한 곳에 모이는 현상을 간과할 고대 천문학자는 단 한사람도 없을 것입니다. 어느날 목성이 어제보다 두 배 밝았다 어느날 금성이 왼쪽으로 가다가 오른쪽으로 되돌아 왔다 이런 것들이 중요시 되는게 고대천문학입니다. "오행성이 한 점에 모였다"는건 대서특필감 중에 대서특필감이죠.


    4. 따라서 위 사서에 적힌 오성취합의 기사는 그 중요성이 알려진 이후의 후대에 삽입된 것이다.

    -> 역시 마찬가지로 '누가'가 남습니다. 고작 위서 하나 만드는데 저런 엄청난 고대과학을 동원한 자들은 누구인가. 하는 점이죠.



    그냥 의문이 나서 간단하게 적어봅니다. ^^ ( 이제 이 블로그 올리신지도 꽤 되어 글을 읽어 보실진 모르겠지만 ㅎㅎ ) 우문현답 내려주시면 더욱 감사.
  • 초록불 2008/05/27 12:26 #

    에... 박사님한테 여쭙는 글이라면 저 글을 쓰신 분께 문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이유립이겠죠. 그런데 저는 저걸 계산해서 넣었다는 말은 별로 신뢰하지 않습니다. 저 기록은 고대 기록(죽서기년)을 보고 유사한 시기에 적어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한국사 미스테리 60> 포스팅에 있는 것을 참고하세요. (핑백에 있습니다)

    2. 네.

    3. 트랙백된 글을 읽어보세요. 그리고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 마야 문명의 기록은 어디 있는지 좀 알려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4. 위 과학자 분은 환단고기에 대한 거짓을 밝힌 제 글은 보지 못한 것이죠...^^;; 환단고기 제작 과정에 대해서는 <이유립, 환단고기를 주무르다> 연작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이 문제는 환단고기 자체가 일고의 가치가 없는 조작된 책이기 때문에 거론할 필요도 없는 이야기에 속한다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에로거북이 2008/05/27 12:42 #


    와 답변 빨리 주셧네요.

    근데 제가 '블(로그)치'라 핑백 트랙백 이런 개념들에 아직 익숙하질 못합니다. ㅎㅎ;;

    ( 뭐 이거야 제가 연구좀 해야 될 부분이고 )

    타 문명권에 오행성 관련 내용은 정리해서 올려드리던가 하겠습니다.

    ( 이쪽 계열로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가 아니라 지나가면서 읽은 내용들이 전부라 문헌근거며 이런거 찾고 정리하는데 시간이 좀 필요할 듯 합니다 )

    다만 후한서에 오성취합이 처음 나왔다고 해서 고대동양천문학이 " 후한대 이전에는 오성이 취합을 하던 ( 댄스를 추던 ) 아무런 의미를 두지 않았을 것이다 " 란 전박사님의 주장은

    ... 좀 납득하기 힘들군요 ^^;

    황제내경(전국시대 후기의 저작으로 인정되고 있죠) 같은 의서에도 무려 "목성이 밝으면 어떠어떠한다 " "금성이 역행하면 어떠어떠한다" 이런 식으로 오행성의 변화를 매우 중요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대천문학 ( 여기서 고대란 BC1천년 정도로 하겠습니다 ) 에서 오성이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을 그냥 간과하지는 않았으리라 싶습니다.

    일단 말씀해주신 대로 포스팅과 핑백 트랙백(을 열심히 찾아)을 읽어보겠습니다.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 초록불 2008/05/27 13:29 #

  • 악질식민빠 2008/05/27 22:56 #

    오성취루는 날조찌라시로부터 유래한 독자적 기록이 아니라 단기고사를 베꼈다는 것에서 이미 막장...

    아무리 생각해도 규원사화 >>>>>>>>>>>>>>>> 단기고사 >>>>>>>>>> 넘을 수 없는 비열한 날조의 벽 >>>>>>>>>>>>> 날조찌라시인 것을...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1&dir_id=110101&eid=5O3dyvpNxNOYqfSUVCvwg7GxJHxJ7D8c&qb=tNyx4rDtu+cgv8C8usPrt+c=

  • 前유사매식자 2009/10/20 22:50 #

    몰래 별 의미없는 논의를 남겨두었습니다.

    http://munbba.egloos.com/2460213

    AS AS.
  • 前유사매식자 2009/10/21 00:50 #

    호로롤로 이거 비밀글 아니었남여...OTL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유사역사아웃

2017 대표이글루_history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