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한배달 가을호에 보면 자칭 역사연구가 오재성의 [장보고는 반도인이 아니다]는 글이 실려있다.
이 글에서 오재성은 "우리 민족은 두 신라가 있었는데 이를 하나로 보려고 하니 역사의 바른 해답을 얻을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신라는 중국 동부 대륙에 있는 서신라, 그리고 반도에 있는 동신라가 있다고 주장한다. 동신라는 본래 고구려 영토였는데 독립해서 신라가 되었다는 알 수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리고 서신라가 있었다는 분명한 증거가 중국 사서에 적혀 있다고 말한다. 중국 사서에 분명히 적혀 있다면 왜 오재성만 그것을 읽은 것일까? 이병도가 못 읽은 것은 그렇다 치고, 신채호나 최남선, 정인보도 못 읽었다는 건 이상하지 않은가? 그런데 사실을 알고나면 오직 오재성만 그것을 읽은 이유를 알게 된다. 자, 일단 뭘 가지고 그러는지 읽어나 보자.

한문을 조금이라도 아는 분들은 이쯤에서 입속에 든 밥알을 쏟아냈을 것이다. (이 표현은 재야사가 임승국이 즐겨쓰던 것인데, 나도 한번 써봤다.)
찬찬히 보자. 위의 두 개는 신경쓸 필요도 없다. 그 두 개와 연결된다는 맨 마지막 사료만 보자.
新羅國弁韓之苗裔也.
이 글을 오재성은 [신라는 변한을 이었으며 묘의 후예들이 세웠다]라고 독해했다. 우선 빨갛게 표시한 부분의 한자가 저기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문장은 매우 간단해서 그냥 이렇게 읽으면 된다.
신라국은 변한의 묘예이다.
新羅國 弁韓 苗裔
이 묘예苗裔를 오재성은 [묘족의 후예]라고 해석했는데, 묘예苗裔는 그냥 후손, 후예라는 뜻이다. 즉 위 문장은,
신라국은 변한의 후예이다.
라는 말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국어사전에도 나온다. [먼 후대의 자손]이라고. 네이버의 중국어 사전에서도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니, 당대 조선의 천재들 중 아무도 못 읽은 사료를 혼자 읽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고도 의기양양해서 [한족의 동이 기록에서 구리의 후예들이 강회 지역에 신라를 세웠음을 분명히 기록하고 있다]라고 외치는 것이다.
[예고]
인터넷 상에 끊임없이 돌아다니던 떡밥 중 하나인 [스웨덴 고고학자 부부] 운운의 내용이 어디에서 처음 출발한 것인지 알아낸 것 같다. 다음 주 중에 확인하고 그 떡밥의 실체를 알려주도록 하겠다.
스웨덴 고고학자 부부 [클릭]
덧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6/07/02/2006070270253.html
언제나 빠지지 않는 덕선생님 (...)
악질식민빠님 / 아주 징글징글합니다.
한반도를 무지하게 싫어한다는점 =ㅅ=;
중국대륙이 그리 좋은가.......
강진에서 청자를 구워 개경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배가 침몰하여 엄청난 청자들이 바다속에서 900년을 잠자고 있었던게지요.
그에 관련된 목간들도 함께 발견됐고...
'이것은 분명 일제와 식민사관에 물든 사람들이 고도로 치밀하게 꾸며놓은 것'이라고
자위하는 빠들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묘족의 후예 덕분에 '환빠들은 한문을 못 이해한다' 라는 것이 자리잡게 되었다나...orz
아래글은 남당 박창화 선생의 유고와 삼국사기의 기년을 비교한 글입니다.
초록불님의 생각은 어떠한지요?
삼국사기 백제본기 백제왕 재위기간.
1, 溫祚王(온조왕) 재위 46년, B.C 18~A.D 28
2, 多婁王(다루왕) 재위 50년, 28~77년
3, 己婁王(기루왕) 재위 52년, 77~128년
4, 蓋婁王(개루왕) 재위 39년, 128~166년
5, 肖古王(초고왕) 재위 49년, 166~214년
6, 仇首王(구수왕) 재위 21년, 214~234년
7, 沙泮王, 沙沸王(사반왕) 234년
8, 古爾王(고이왕) 재위 53년, 234~286년
백제왕기 기년
仇知王(구지왕), 재위 39년, 188년 - 226년
肖古王(초고왕), 재위 29년, 226년 - 254년 (20년이 적음)
仇首王(구수왕), 재위 11년, 254년 - 264년 (10년이 적음)
古爾王(고이왕), 재위 23년, 264년 - 286년 (30년이 적음)
고구려사초 기년 vs 고구려본기 기년
芻牟大帝 재위19년 BC37 ~ BC19 동명성왕 재위19년 BC37 ~ BC19
光明大帝 47년 BC19 ~ AD28 유리명왕 37년 BC19 ~ AD18
大武神大帝 37년 28 ~ 64 대무신왕 27년 18 ~ 44
閔中帝 5년 64 ~ 68 민중왕 5년 44 ~ 48
慕本帝 6년 68 ~ 73 모본왕 6년 48 ~ 53
神明仙帝 40년 73 ~ 112
太祖皇帝 35년 112~ 146 태조대왕 94년 53 ~ 146
次大帝 20년 146 ~ 165 차대왕 20년 146 ~ 165
新大帝 15년 165 ~ 179 신대왕 15년 165 ~ 179
故國川帝 19년 179 ~ 197 고국천왕 19년 179 ~ 197
山上大帝 31년 197 ~ 227 산상왕 31년 197 ~ 227
東襄大帝 22년 227~ 248 동천왕 22년 227 ~ 248
中川大帝 23년 248 ~ 270 중천왕 23년 248 ~ 270
西川大帝 23년 270 ~ 292 서천왕 23년 270 ~ 292
烽上帝 9년 292 ~ 300 봉상왕 9년 292 ~ 300
美川大帝 32년 300 ~ 331 미천왕 32년 300 ~ 331
남당 유고(신라사초) 기년 vs 삼국사기 기년
1 혁거세 (재위 61년)BC57- AD4
2 남해 (재위 21년) 4- 24
3 유리 (재위 34년) 24- 57
4 탈해 (재위 24년) 57- 80
5 파사 (재위 33년) 126 ~ 158 (재위 33년) 80- 112
6 지마 (재위 33년) 159 ~ 191 (재위 23년) 112- 134
7 일성 (재위 21년) 192 ~ 212 (재위 21년) 134- 154
8 아달라(재위 31년)213 ~ 243 (재위 31년) 154- 184
9 벌휴 (재위 13년) 244 ~ 256 (재위 13년) 184- 196
10 나해 (재위 35년) 257 ~ 291 (재위 35년) 196- 230
11 조분 (재위 18년) 292 ~ 309 (재위 18년) 230- 247
12 첨해 (재위 15년) 310 ~ 324 (재위 15년) 247- 261
13 미추 (재위 25년) 325 ~ 349 (재위 24년) 261- 284
14 유례 (재위 15년) 350 ~ 364 (재위 15년) 284- 298
15 기림 (재위 7년) 364 ~ 370 (재위 13년) 298- 310
16 흘해 (재위 8년) 370 ~ 377 (재위 47년) 310- 356
17 내물 (재위 26년) 377 ~ 402 (재위 47년) 356- 402
18 실성 (재위 16년) 402 ~ 417 (재위 16년) 402-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