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만대군의 위상 - 나발을 불어라 *..역........사..*

백만 대군. 상상하기도 힘든 대군이죠. 현대 국가에서도 이만한 병력을 보이기는 쉽지 않습니다. 백만대군이라 하면 얼른 생각나는 게, 수양제가 고구려를 칠 때 동원한 병력이죠.

모두 1,133,800명이었는데 200만이라 일컬었으며, 군량을 나르는 자는 그 배가 되었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영양왕23년(612년)
청천강(淸川江)【옛적에는 살수(薩水)라 불렀으니 곧 고구려의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수(隋) 나라 백만대군을 격파한 곳이다.】- 고려사 지리지 북계 안북 대도호부 영주(寧州)
우의정 하연(河演)·좌찬성 황보인(皇甫仁)·우찬성 김종서(金宗瑞)·좌참찬(左參贊) 정분이 아뢰기를, “신들은 생각하옵건대, 평안도의 안주 읍성(安州邑城)은 본디 절제사 영(節制使營)으로서 실로 우리 나라 요충(要衝)의 땅이옵니다. 옛사람의 말에, ‘수(隋)나라 군사 백만 명이 물에 빠져서 고기밥이 되었다.’는 것은 곧 안주(安州)의 살수(薩水)를 이른 것이옵니다. - 조선왕조실록 세종 29년 5월 1일

이 병력 동원은 사실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할 이야기 중 유일하게 사실로 취급받는 이야기죠. 그래서 처음 떠오르는 것이리라 생각합니다. 백만대군 따위는 무려 1세기에 요동 태수도 동원할 수 있었다는 거 아세요?

11년(서기 28년) 가을 7월에 한나라의 요동(遼東) 태수(太守)가 군사를 거느리고 쳐들어 왔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대무신왕 

대무신왕은 위나암성에서 농성을 하다가 사과문을 제출합니다. 이때 요동 태수가 거느린 병력이 언급됩니다.

“과인이 우매하여서 상국에 죄를 얻어, 장군으로 하여금 백만 군대를 거느리고 우리 국경에서 이슬을 맞게 하였습니다. 후의를 감당할 길 없어서 보잘 것 없는 물건을 부하들에게 제공하려고 합니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대무신왕 11년

이런 걸 보면 최치원이 말한,

고구려와 백제는 전성시에 강한 군사가 백만이어서 남으로는 오(吳), 월(越)의 나라를 침략하고, 북으로는 유연(幽燕)과 제로(齊魯)를 위협하여 중국의 큰 해독이 되었습니다. - 삼국사기 최치원 열전

라는 말도 별 것 아닌 게 되고 맙니다. 백만대군 따위 요동 태수도 동원한 걸요.

고려 때도 백만대군의 침입이 있었습니다. 제8대 왕인 현종 때 - 그러고보니 막장사극 천추태후에도 나오겠군요 - 현종1년(1010년)과 현종 9년(1018년) 거란의 2차, 3차 침입이 있습니다. 3차 침입 때 강감찬의 활약으로 거란군을 격퇴하죠. 이 현종을 기리는 글이 고려사에 남아 있습니다.

제3의 현종실(顯宗室)에는 책(冊)하기를, “왕실 난리(王室亂離)의 즈음에 당하여 능히 그 공(功)을 정하고[勘定厥功] 방인(邦人)의 요박(?薄)한 풍속(風俗)을 개혁하여 같이 다스림에 돌아가게 하였다. 밖으로는 주목(州牧)의 구제(舊制)를 정하고 안으로는 사직(社稷)의 신도(新圖)를 세웠도다. 적국(敵國)의 백만 병(兵)을 소탕(掃蕩)하여 패연(沛然)히 막아낼 수 없게 하였으며, 변성(邊城)을 쌓은 것이 18읍(邑)으로 그 불우(不虞)를 방비(防備)하여 마침내 태평(太平)의 기(基)를 이루었으므로 중흥(中興)의 주(主)라고 이름하도다.” - 고려사 고종2년(1215년)

고종 때 묘실에 올린 글입니다. 백만대군을 물리쳤군요. 만세! 거란군의 1차 침입(993년) 때 소손녕과 서희의 대결은 유명합니다. 이때 소손녕은 자기들이 80만대군이라고 뻥을 치는데요. 안주섭 박사는 최대 6만명에 불과했다고 주장하죠. 임용한 교수도 이들이 10만도 되지 않았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2차 침입 때 거란군은 40만. 이에 맞선 고려도 40만의 대군을 준비해 둔 상태였죠. 어차피 전쟁사 이야기는 아니니 이 정도만 거론합니다. 3차 침입은 일반적으로 강감찬의 귀주대첩을 거론하지만 이 시기는 거란의 파상적 공세로 인해 1014년~1018년간 4차례의 전투가 벌어지고 평균 15만의 군대가 침입해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런 군세를 모두 합하면 백만을 넘어서기도 하죠. 그러나 아무튼 위에 나오는 백만병을 소탕 운운의 말은 허풍입니다. 나발을 부는 거죠.

고려를 침공했던 홍건적도 백만 대군이었습니다.

“생각건대 우리 왕은 총명하고 인무(仁武)하여 앉아서 홍적(紅賊) 백만의 무리를 죽여서 제실(帝室)을 편안하게 하기를 천하에 창도(唱道 선창(先唱))하였던 바 이제 대왕(大王)의 충의(忠義)가 천하에 들리므로 동서(東西)가 힘을 합하여 참란(?亂)을 삭평(削平)하여 제실(帝室)을 협보(挾輔)하고자한다.” - 고려사 열전17 김제안

홍건적이 처음 쳐들어왔을 때 병력이 4만이었다는 말도 있지만 이것도 뻥이라고 여기고 있고, 주력군이 쳐들어왔을 때도 10만에 불과했습니다. 10배를 튀기셨네요.

임진왜란 때 쳐들어온 일본군도 백만이라는 주장이 있죠.

풍신수길이 백만 대군을 동원하고 10주의 재력을 다 기울여 두 번이나 큰 전쟁을 일으켰지만 화살 한 개도 돌아가지 못했음은 물론 정권도 따라서 망했다. - 정약용 일본론

조선에 온 일본군은 15만 8천 7백명입니다. 자, 일본군이 백만이나 쳐들어왔으니 명에서 온 원군은 얼마나 되어야 했을까요? 이것도 백만입니다.

그중에 오직 대사마(大司馬) 석공(石公)만은 비분 강개하여 우리 나라의 일을 스스로 책임지고서 들끓던 옥신각신한 주장들을 물리치고 백만대군을 출동시켜 아무 보답도 할 수 없는 땅에 은덕을 베풀었으나 뜻이 이루어지자 자신은 형벌을 받아 사형을 면치 못하였으니, 우리 나라의 모든 백성들이 집집마다 제사를 지내주고 칭송한다 하더라도 구원병 백 명에 대한 보답도 되지 않을 것이다. - 조선왕조실록 정조 23년 7월 29일

"백만"이란 말은 사실상 그저 "매우 많다"는 뜻일 뿐입니다. 이런 구절을 한 번 볼까요?

우(禑) 또한 광패(狂悖)하여 요동(遼東)을 치기를 꾀하였으니, 이는 삼한(三韓)의 백만(百萬) 생령(生靈)을 들어 썩어문드러지게 하려 한 것이었다. - 고려사 공양왕 2년(1390년)
만약 혹시 이것이 복구되면 이는 삼한(三韓) 백만(百萬)의 민중(民衆)을 들어 기름불 속에 넣는 것입니다. - 고려사 식화지 전제 녹과전 조
태조(太祖) 열성(烈聖)이 부탁하신 바이며, 산천 귀신이 귀의(歸依)한 바이요, 백만(百萬) 생령(生靈)이 목숨을 맡긴 바이라 지극히 숭고(崇高)함은 만 길[칅]보다 더 되고 어려운 짐은 태산보다 더 무거우니 한마디 말을 하여도 하늘에서 뇌성이 울리듯 삼한(三韓)이 듣지 않음이 없고, - 고려사 열전31 조준
6년 동안에 대수(大水)와 대한(大旱)이 나니 백만(百萬) 생령(生靈)이 끓는 물 속에 있는 것 같되 신돈(辛旽)의 위세(威勢)를 두려워하여 감히 이것을 입에 내지 못하고 머리를 숙이고 손을 끼고 천지에 호소하기를, - 고려사 열전33 윤소종
만일에 적병(狄兵)이 행성(行城)을 넘어 들어오고, 내지(內地)에 견고한 성(城)이 없으면 우리나라의 백만(百萬)의 생명이 장차 어찌 되겠습니까. - 조선왕조실록 세종 32년 1월 15일 양성지의 상소문 중

삼한(=우리나라)의 인구가 백만밖에 되지 않는군요. 여말선초 상황이라고요? 천만의 말씀이죠.

그리고 서로 알리고 서로 기뻐하여 우리 백만 백성들을 편안하게 할 것이다. - 조선왕조실록 정조 24년 2월 2일

조선말에도 인구가 백만... 이런 예는 너무나 많아서 일일이 다 들 수가 없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 "백만"이란 그냥 "매우 많다"는 뜻입니다. 부자를 가리키는 말인 "백만장자"와도 같은 것이죠. 저 백만이 진짜 수치라면 이런 일이 생겼을 때 조선은 멸망했겠지요.

기근·여역으로 죽은 토착 농민까지 온 나라를 합하여 계산하면 그 수가 거의 백만에 이르고, 심지어 한 마을이 모두 죽은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비록 임진·계사년 전란의 참혹함이라도 거의 이보다 지나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 조선왕조실록 현종개수실록 12년 12월 5일

1670-71년의 대기근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인구가 백만인데 사망이 백만에 가까웠다니... 후덜덜...


덧글

  • 진성당거사 2009/02/08 11:36 #

    환빠들 이 글 좀 보고 제발 정신 좀 차려줬으면 하는 바입니다........;;
  • 초록불 2009/02/08 11:37 #

    그쪽으로는 기대도 하지 않습니다...^^
  • dunkbear 2009/02/08 11:45 #

    임란 때 왜군이 백만이라니... 그만한 대군을 실어나르려면 배가 몇 척인데... 헐헐...
  • 초록불 2009/02/08 12:53 #

    계산은 하지 않습니다...^^
  • 우왕구우웃 2009/02/08 11:58 #

    환빠들에게 숫자는 중요하지 않을듯..오직 수나라 당나라 깠다는게 중요할뿐
  • 초록불 2009/02/08 12:53 #

    수당을 깐 거야 뭐 사실이니까 중요하게 생각해도 괜찮겠지만...^^
  • Mizar 2009/02/08 11:59 #

    은근히 군세를 부풀려 적는게 일반적이었던 것같은데 의외로 수양제의 군세만은 그 과장이 적은게 좀 신기하더군요. 적벽대전 때 10만 정도의 군세를 80만 대군으로 부풀려 이야기했던 것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113만이 아니라 800만 대군이라고 해도 될 것 같던데 말이지요.
    그나저나 저 113만 대군이라는 것도 실제로는 기타 보조병을 뺀 숫자라던데 이렇게 실제 동원된 병력보다 적게 기록을 한 경우가 또 있나 싶네요.
  • 초록불 2009/02/08 12:54 #

    결국은 백만 달러보다 더 부자도 그냥 백만장자라고 부르는 것 같은 거죠...^^
  • catnip 2009/02/08 12:03 #

    1. 알면서도 자신의 주장을 합리화 시키려고 고의적으로 문자 그대로의 의미라고 우기는 경우.
    2. 아무 생각없이 백만이라니 백만명인가보다, 라고 생각하는 경우.
    어느 쪽이 더 나쁠까요.;
  • 초록불 2009/02/08 12:54 #

    물론 1번이 더 나쁘죠...^^
  • 나아가는자 2009/02/08 12:42 #

    정확하게 1,133,800 명이라고 표기하는 방식이 아닌 막연하게 '백만'이라고 하는 것은 믿을바가 못되는군요.
  • 초록불 2009/02/08 12:55 #

    저 수치에 대해서도 여러 주장이 있긴 하지만, 아무튼 대체적으로 사실이라고 생각하죠.
  • Charlie 2009/02/08 12:50 #

    왜 중국 소설에도 백장단애(100장 높이의 절벽..)이라던가...하는 말이 심심치 않게 나오지요. 그냥 만명 가까우니 백만이라고 하자. 라고 쓴것 같은데..
    상식적으로 생각해서 백만은 쉬운 숫자가 아니지 않나요. 뭐 상식같은게 있다면 저런말도 못했겠지만요.
  • 초록불 2009/02/08 12:55 #

    상식이 통용되는 세상이 어서 좀 왔으면 싶습니다...
  • 아롱쿠스 2009/02/08 12:54 #

    '백만'은 그냥 많다는 의미의 수식어에 불과한건데...
  • 초록불 2009/02/08 12:56 #

    그렇죠...^^
  • 누렁별 2009/02/08 13:27 #

    백만 스물 하나, 백만 스물 둘... 다시!
    그런데 거란 2차 침입 때 두 나라의 각 40만 병력은 당시 인구를 생각해 볼 때 정말 대단하군요. 어쨌든 옛날 기록에 쓰여 있다고 곧이 곧대로 믿었다간 "오해입니다" 되는 건가요 -_-;
  • 초록불 2009/02/08 13:40 #

    이건 곧이곧대로의 문제가 아니라, 문학적 수사를 구분해야 한다는 문제로 보심이...^^
  • 누렁별 2009/02/08 13:53 #

    그런데 옛 분들이야 실증주의를 철저히 추구하지 않으셨어도 시대가 그래서 그러려니 하는데, 과연 근대의 역사 기록은 저런 문제가 없을까 궁금해 집니다. 가령 모택동 때 중국 정부의 통계 발표도 생구라가 많지 않습니까. 누가 뭐라고 하면 말이 되는 소리인지 따져볼 일입니다.
  • 초록불 2009/02/08 14:13 #

    옳은 말씀입니다.
  • 파파울프 2009/02/08 13:37 #

    아니? 누가 또 백만 어쩌고로 시비를 걸었나요?
  • 초록불 2009/02/08 13:39 #

    외출을 삼가하고 있어서 시비가 걸리는 일은 없습니다만...^^
  • Sollen 2009/02/08 13:56 #

    그러고보니 중국쪽 수사에서도 "백발 삼천장" 이라는 표현이 있더군요. 삼천 장이면 에베레스트산 높이보다도 더 높단 얘긴데(.....) 언젠가 수학박사 안재구 선생이 자기 책에다가 가십거리로 과장된 숫자의 사례를 이것저것 많이 열거해 놓았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 초록불 2009/02/08 14:14 #

    그런 것도 다 문학적 수사지요. 불경에도 상상을 초월하는 숫자들이 많이 나오지요.
  • 주황마법사 2009/02/08 14:42 #

    삼국지에서 조조의 백만대군이 생각나는군요.
  • 개발부장 2009/02/08 14:53 #

    조조의 군대는 780만이었죠...(먼산)

    설명: 5권짜리 만화삼국지에서, 조조에 맞설 연합을 구성하러 간 제갈량이 "조조의 군대는 백만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780만으로," 라고 이야기합니다. 7~80만을 타자치다 빼먹었겠죠^_^

    그 후 그 책을 봤던 저희 일행들은 뭔가 이야기만 나왔다 하면 조조군 780만을 외치곤 했습니다;;;
  • 천지화랑 2009/02/08 17:59 #

    그냥 만리장성만 봐도....[랄라~]

    그나저나 과연 수나라의 고구려 원정군은 총 몇 명이었을지에 대한 고찰 써 주실 분은 없을지.... -_-;;
  • 고독한별 2009/02/08 18:50 #

    예전에 교양 동양문화사 수업 들을 때, '왜 하필 100만이 많다는 대명사가 되었느냐' 에 대한
    설명을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전차'가 전장의 핵심이었는데, 전차 하나에
    딸린 병사가 대략 100명이라고 하더군요. 따라서 '만승의 나라'인 천자국에서는 전차 1만대를
    동원할 수 있으므로, 병사가 100만... 따라서 전차가 전장에서 물러난 뒤에는, '백만명의 병력'
    이 대국을 상징하게 되어서, 자연스럽게 100만이 많다는 뜻이 되었다는 거죠.

    맞는지 어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 초록불 2009/02/08 19:43 #

    그럴 것 같습니다.
  • 금린어 2009/02/08 19:34 #

    관습적으로 과장이나 많음을 뜻하는 숫자가 시대나 상황별로 여럿 있는것 같습니다.

    '구만리장천'같은 경우도 있고, 충주의 '열두대' 같은 경우도 있죠.
  • 초록불 2009/02/08 19:44 #

    그렇죠.
  • 슈타인호프 2009/02/08 19:48 #

    삼천갑자 동방삭이 생각납니다(...)
  • 루드라 2009/02/08 19:49 #

    억조의 백성 운운하는 것도 있죠. 억조명의 백성이 있으려면 확실히 안드로메다까지 가야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
  • 풍신 2009/02/08 20:24 #

    "1, 2, 3, 4, 5,...,많아" 식으로 세었던 것이군요. 아니면...관리들의 뻥튀기...그것도 아니면, 역사학자가 전투에 직접 참가하진 않을테니 소문이 뻥튀기를 시켰다던지...
  • 강태경 2009/02/08 21:55 #

    인구가 백만인데 사망이 백만이라....... 저 말에 따르면 조선이 멸하고 다른 나라가 세워졌어야 정상이네요..
  • Wishsong 2009/02/09 09:26 #

    통계학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대의 단편일지도요;
  • 무한의끝을넘어 2009/02/09 17:14 #

    얼핏 끔찍한 생각을 하고 말았습니다... 1670-71년 의 기근에서 말하는 '백만'이 사실에 가까웠다면...

    그 당시 조선의 모습은 시체 시체 시체 시체 시체 시체 어딜가도 어딜 둘러봐도 시체 시체;;;;;
  • 우왕구우웃 2009/02/11 11:38 #

    지금 시대에도 백만이 죽으면 나라가 거덜나는 수준일텐데

    조선시대에 기근으로 백만 죽었으면 거의 나라 전체가 공동묘지였을듯
  • 2010/11/10 22:30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0/11/10 22:43 #

    대학 때 김한규 선생님이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알 수 없는 기록은 억지로 해석하지 말고 그대로 내버려두어라."

    이 문제는 저로서는 그런 곳에 속했습니다. 다만 최근에 구한 책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에 새로운 해석이 있어서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이 문제에 관심이 있다면 해당 책을 읽어보기 바랍니다...^^;;
  • 2010/11/10 22:49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0/11/10 22:51 #

    논문 심사는 이종욱 선생님도 같이 하신 거라서...^^
  • 2010/11/10 22:59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0/11/10 23:00 #

    아, 그런가요. 그건 저도 몰랐습니다.
  • 붉은잎 2012/05/04 14:09 #

    제가 네이버에서도 활동하는데 어떤 유사역사학자가 이러더군요.
    '고구려는 천하중심자관 1천만군 백제는 380만대군'
    우와.. 고구려가 천만명, 백제가 380만명이라니... 게다가 보급군 포함하면 임란도 100만명이라고 주장하는 정신상태가 나간 놈인데, 어찌해야될까요
  • 초록불 2012/05/04 17:13 #

    무시하세요...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