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細茵 강이 흐릅니다. 먼 옛날 蒔慈 대장이 공략했던 곳으로 婁富 궁전이 유명합니다. 昆高道 공원은 杜老琍 궁 앞에 있습니다. 老脫羅南 예배당은 가장 커다란 사찰입니다. 이곳 서남방에는 排沙遊 시가 있습니다. 옛 국왕의 궁전이 잇는 곳입니다. 이 나라의 남쪽에는 馬塞里가 있습니다. '마새리'는 布魯漢秀 주에 있는 도시입니다. 마새리 북방에는 里昻이라는 도시가 있습니다.
2.
이 도시는 秀布禮 강 상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厚禮斗益 왕의 말탄 동상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 나라의 유명한 도시로는 咸福, 泊論, 厚蘭布土, 岷仁見, 布朱淡 등이 있습니다.
3.
이 나라의 수도는 赫久입니다. 무역 도시인 巖秀攄淡과 祿攄淡이 있습니다.
4.
이 나라의 수도는 馬頭賴입니다. 수도 서남쪽에는 哥多瓦, 동남쪽에는 加拉拿太가 있습니다. 남부에 가장 큰 도시는 細勃이고 文那 산맥과 禮保茶 산맥 사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巴泄老那와 沙羅高楂라는 도시도 유명합니다.
5.
富羅泄과 安道岬은 어느 나라 도시일까요?
=============
여기 나온 도시 이름 등은 모두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나온 것입니다.
아래를 마우스로 드래그 해서 읽어보면 답을 금방 아실 겁니다.
1.
세느 강이 흐릅니다. 먼 옛날 시저 대장이 공략했던 곳으로 루브르 궁전이 유명합니다. 콩코드 공원은 튀를리 궁 앞에 있습니다. 노트르담 예배당은 가장 커다란 사찰입니다. 이곳 서남방에는 베르사이유 시가 있습니다. 옛 국왕의 궁전이 잇는 곳입니다. 이 나라의 남쪽에는 마르세이유가 있습니다. '마르세이유'는 프로방스 주에 있는 도시입니다. 마르세이유 북방에는 리옹이라는 도시가 있습니다.
2.
이 도시는 스프리 강 상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프레드릭 왕의 말탄 동상이 세워져 있습니다. 이 나라의 유명한 도시로는 함부르크, 쾰른, 프랑크푸르트, 뮌헨, 포츠담 등이 있습니다.
3.
이 나라의 수도는 헤이그입니다. 무역 도시인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이 있습니다.
4.
이 나라의 수도는 마드리드입니다. 수도 서남쪽에는 코르도바, 동남쪽에는 그라나다가 있습니다. 남부에 가장 큰 도시는 세빌랴이고, 모레아 산맥과 네바다 산맥 사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바르셀로나와 사라고사라는 도시도 유명합니다.
5.
브뤼셀과 안트워프는 어느 나라 도시일까요?
덧글
공고도 공원이란 표현이 참... ㄱ-
細茵 강 = 센 강
蒔慈 대장 = 케사르 (시저)
老脫羅南 예배당 = 노틀담 대성당
排沙遊 = 베르사이유
馬塞里 = 마르세이유
으로 보이는군요.
재밌네요.
유길준 선생께서 왜 한글로 음차할 생각을 안 하셨는지...
厚禮斗益 왕 = 프레드리히 대왕일테고
咸福 = 함부르크
泊論 = 베를린?
厚蘭布土 = 프랑크푸르트
布朱淡 = 포츠담?
이 나란 독일이겠군요
베토벤은 변도변, 차이코프스키는 차갑수..이런 음가로 한자어를 썼다는 말에 배잡고 웃었던 기억이 납니다. 농담이 아니었을까 생각했는데..유래가 어디 있는지를 못 찾아서.
밑에 숨겨진 걸 보고는 다 알았는데..ㅠㅠ...
한문으로는 어느나라인지 전혀 모르겠군요. 드래그 한걸로 보니깐 바로 끄덕거려지는데 말입니다(...).
혹시 유길준의 서유견문록에서 표현한 고유명사들이 중국이나 일본의 것과 같은것인지 아니면 유길준의 창작인지가 궁급합니다.
베를린만 하더라도, 윗글에서는 '泊論', 1960년대 한국에서는 '伯林'이었으니까 말입니다. (그 유명한 동백림 사건덕분에 이 글자를 알게되었다는...)
1번 해석문에 '노트르담' 표기하는 거 깜빡하신듯 합니다.
나라이름에 대해선 위키에 이런 글이 있네요.
http://ko.wikipedia.org/wiki/%EB%82%98%EB%9D%BC_%EC%9D%B4%EB%A6%84%EC%9D%98_%ED%95%9C%EC%9E%90_%ED%91%9C%EA%B8%B0_%EB%AA%A9%EB%A1%9D#cite_not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