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한 분이 바로 이 문제를 질문했는데, 오늘 보도가 나온 것을 보니 참 공교롭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연합] `박정희 만주군에 혈서지원'…옛 신문기사 [클릭]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제공한 전문 번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혈서(血書) 군관지원
반도의 젊은 훈도(訓導)로부터
29일 치안부(治安部) 군정사(軍政司) 징모과(徵募課)로 조선 경상북도 문경 서부 공립소학교 훈도(訓導) 박정희군(23)의 열렬한 군관지원 편지가 호적등본, 이력서, 교련검정합격 증명서와 함께 ‘한 번 죽음으로써 충성함 박정희(一死以テ御奉公 朴正熙)’라는 혈서를 넣은 서류로 송부되어 계원(係員)을 감격시켰다. 동봉된 편지에는
(전략) 일계(日系) 군관모집요강을 받들어 읽은 소생은 일반적인 조건에 부적합한 것 같습니다. 심히 분수에 넘치고 송구하지만 무리가 있더라도 반드시 국군(만주국군-편집자 주)에 채용시켜 주실 수 없겠습니까. (중략) 일본인으로서 수치스럽지 않을 만큼의 정신과 기백으로써 일사봉공(一死奉公)의 굳건한 결심입니다. 확실히 하겠습니다. 목숨을 다해 충성을 다할 각오입니다. (중략) 한 명의 만주국군으로서 만주국을 위해, 나아가 조국(일본 : 편집자 주)을 위해 어떠한 일신의 영달을 바라지 않겠습니다. 멸사봉공(滅私奉公), 견마(犬馬)의 충성을 다할 결심입니다.(후략)
라고 펜으로 쓴 달필로 보이는 동군(同君)의 군관지원 편지는 이것으로 두 번째이지만 군관이 되기에는 군적에 있는 자로 한정되어 있고 군관학교에 들어가기에는 자격 연령 16세 이상 19세이기 때문에 23세로는 나이가 너무 많아 동군에게는 안타까운 일이지만 정중히 사절하게 되었다.
(『만주신문』 1939.3.31. 7면)
박근혜의 정치적 입장이 미묘한 시점에서 이런 것이 공개된 점이 좀 흥미롭긴 합니다만...
보다 자세한 자료는 이쪽에...
[민족문제연구소] 박정희 전대통령 만주군 ‘혈서(血書)지원’ 사실로 밝혀져 [클릭]
위 사이트에서 해당 신문기사의 이미지 파일과 민족문제연구소의 보도자료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덧글
그러고 보니 이걸 가지고 얼마전 "소설에 낚인 좌파들의 구라임 ㅋㅋ" 어쩌구 하신 분이 계셨지요. 그 분은 뭐라 반응하실지...ㅋ( ' ㅆ')
문구가 조금 다르긴 하지만 전체적인 사건 내막은 달라질 게 없겠는데요.
이것도 신문기사이니 낼름 찝어다 본인의 주장으로 펼쳐주셨으면 하는데 말입니다. ㄷㄷ
지금까지 드러난 것만 보면 박정희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을 꼽는 사람이 많고, 부정적인 평가로는 집권 시의 인권탄압과 민주제도의 억압, 일제시대의 친일행적 등을 거론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아무튼, 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좀 더 시간이 지난 후 역사학자들에게 맡겨야 할 것으로 봅니다. 왜냐하면, 그에 대한 평가에 이해가 서로 엇갈리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이 살아있는 지금 과연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할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런데 객관적 평가 이전에도 적극적으로 평가해 나가는 모습은 필요하다고 저는 생각해요. 그런 평가 자체도 하나의 역사로 남을 겁니다...^^
제가 말하고 싶었던 점은 어떤 일을 평가함에 정략적 이해관계에 따른 판단이나 감정적인 판단, 그리고 선입견이 배제되어야만 비로소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지금과 같이 서로 간의 이해가 첨예하게 맞부딪치는 상황에선 박정희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내리기란 쉬운 일이 아닐 것 같아 좀 더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해서 드린 말입니다.
피(血)만 날리고 입격에 실패했다는 것 같은데 그 다음 해에는 입시 규정이 바뀌었는지도 궁금합니다.
궁금했던 자료가 나왔습니다. 그래도 고령박씨 대통령공파 종손이 '우리 중시조는 청국군이었음'이라는 주장을 뒤엎을 자료는 아니라고 주장하겠지만요.
친일사전에 등재하려는 쪽이나 빼자는 쪽이나 서로 다른 생각을 품고있는것 같더군요;
결국 시간이 지나면 이러한 사실들 자체도 역사로서 후세에 기억될텐데 말입니다;
인권위도 비슷한것 아닌가요?
인권위가 이리저리 지적하는건 도통 수긍하기 어려운 내용도 가끔 나옵니다만
인권위의 입장으로서는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일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걸 해석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의견이 나타나는 것이고...
친일사전이 살생부가 될지 그냥 스쳐지나가는것이 될지는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이 친일 사전은 하나의 역사적 자료로서 쉼표를 한번 찍어주는,
그정도의 역할만 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에 자료 공개한건 박근혜랑 관련된 정치적 목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박지만씨 소송때문에 일어난 일이라고 봐야 될 듯 합니다.
연합뉴스에서는 이 자료를 공개하게 된 배경을 짧게만 다루고 자세히 쓰지 않은 것 같네요.
박정희는 워낙 알려진 얘기가 많다보니 그다지 충격스럽지는 않군요.=ㅂ=;;
그러고보니 장지연 선생쪽은 어찌 될지 궁금해집니다. 유가족측이 게재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는 기사는 보긴 했는데 말이죠. 개인적으로 국내에서의 일본떡밥은 정말 '마르지 않는 샘'이군요. 음악가 안익태선생때도 그랬고 최근엔 김수환 추기경 매국노이야기까지 등장할땐 이 건 좀 아닌 것 같아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더랍니다.
정말 위엣분들 말씀처럼 친일행적을 전제로한 일방적인 평가보단 객관적인 시각으로 제대로된 평가를 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5&aid=0002029517&
이런 보도가 있어서 명단에서 제외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친일반민족...에서 빠졌다고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빠지란 법은 없지요.
역사를 다루는 사람들은 과거 역사를 통해 일어났던 일들 그대로를 알리고 전달하려는 자세를 가지고 있으면 되는거겠지요. 과거의 특정 인물에 대한 사회적 정치적 평판을 고려해서 역사를 선택적으로 발굴하고 공개하는 행동이야말로 치우친 것이 아닐까요. 흠.
"친일은 반드시 매국" 이라는 시각이 문제라는 것.
좀더 복잡한 관계가 있을텐데요
박황군께서는 친일행적의 大小보다 우리 근현대사에 워낙 거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니만큼 거슬러 올라가 친일행적까지도 살피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겠지요. 어차피 저게 한 '인간'의 '전체'에 대한 평가도 아닌데.
하아.... 뭐 저는 전부터 박정희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으니까요 쿨럭
이제 속시원하게 털어 놓고
이야기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싶지만..
과연이야기 할려고 할까요..
ㅡㅡ;;
열폭해주실 어버이회 어르신들 눈앞에 선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