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역사학의 영향력 시리즈 007 *..역........사..*

유사역사학이 어떻게 얼마나 우리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지 실감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리즈.
이 시리즈는 유사역사학의 영향력을 확인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개인에 대한 비난 댓글은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임의 삭제가 가능합니다.

제보 환영합니다.

그 일곱번째입니다.

좋아하는 작가가 유사역사학에 감염된 것을 보면 가슴이 아픕니다. 가령 한-몽골 연합론 떡밥에 걸린 황석영, 수메르 한민족 떡밥에 걸린 윤정모, 환단고기에 낚인 김지하 등등...

그리고 맹꽁이 서당, 요철발명왕 등으로 유명한 윤승운 만화가도. 다행이라면 소개할 만화는 제법 팔렸지만 현재는 절판이라 구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어쩌면 이런 감염으로부터 벗어나서 절판시킨 것일지도 모르죠.

<만화 삼국유사>, 동쪽나라, 1996 (제가 가지고 있는 것은 2000년 판본으로 8쇄입니다.)

제목이 <만화 삼국유사>이지만 사실은 <삼국유사> 소개보다 불교 소개가 더 많습니다. 이 만화의 불교 관련 부분은 나중에 <아름다운 부처님 나라>라는 만화로 확장되었습니다. (인도-중국편과 우리나라편 두 권으로 나왔습니다.)

주제로 돌아갑시다.

처음에는 <삼국유사>의 단군신화 소개로 잘 나아갑니다. 문득 불길한 예감이 드는 한 대목이 등장합니다.
김부식=사대주의자 운운은 전형적인 유사역사학의 패턴입니다. 불길.

그리고 이 불길한 부분은 점점 커지게 됩니다.
황제 동이론 떡밥의 등장. 치우 떡밥이 등장하지 않은 것만 해도 감지덕지?

단군신화를 소개하다가 갑자기 이런 대목이 등장합니다.
<산해경> 해외동경에 이런 이야기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단군"이라는 말은 없죠.
대신 "혹은 우임금이 시켰다고 한다 一曰禹令豎亥"라는 부분은 붙어있죠.

이 이야기는 청구국 이야기 다음에 붙어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유사역사가가 청구국의 천제天帝가 시킨 일이라 생각하고 청구국의 천제=단군으로 비약한 것이겠지요.

그래서 단군조선의 영역이 이랬다고 합니다. 헉... 이젠 빼도박도 못하겠군요.
그렇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환단고기>에 기초한 설명이 짜다라시 이어집니다.
세월이 지날수록 초라해지는 역사에 의기소침해진 윤승운 만화가입니다.
저게 다 우리땅였다... OTL...

핀란드, 헝가리, 슈메르, 티벳, 일본, 아메리카 인디언... 네 다 나오는군요.
그리고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훈민정음 가림토 구라도 나옵니다. 이하 잡다한 <환단고기> 설명은 생략.
결국 이런 역사 인식은 현실 비하로 끝난다는 사실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한 컷으로 글을 마무리합니다.


지금까지 이 시리즈는 역사 밸리에 올리고 있었는데요, 알고보면 역사 지식적 차원에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라 판단해서 밸리에는 보내지 않도록 하겠습니다(뭔가 떡밥 분쇄 차원에서 논할 거리가 있으면 밸리로 보내겠습니다). 되도록 밸리에는 건강한 역사 이야기를 보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덧글

  • 들꽃향기 2010/04/29 01:26 #

    사실 윤승운 화백의 이러한 '변화'는 개인적으로 뼈저리게 가슴 아퍼하는 것 중에 하나입니다. 저의 조선시대사 사랑(?)의 시작은...윤승운 화백의 맹꽁이서당이 그 중의 하나라 그런지....ㄷㄷ
  • Allenait 2010/04/29 01:28 #

    아니 이거 충격적이군요.. 이건 전혀 몰랐는데 말이죠
  • ArchDuke 2010/04/29 01:35 #

    이분도 낚이셨다니;;;
  • 네리아리 2010/04/29 01:39 #

    으악!!!! 이러시면 으앙;;;;
  • LVP 2010/04/29 01:44 #

    아악 안돼 씨바!!!!! ;ㅁ;
  • 漁夫 2010/04/29 01:55 #

    집에 애가 보는 맹꽁이 서당이 있는데......... -.-
  • 초록불 2010/04/29 08:33 #

    맹꽁이 서당에서는 이쪽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을 본 기억이 없습니다.
  • 월광토끼 2010/04/29 02:01 #

    맙소사. 정말 이럴 줄은 몰랐습니다. 이젠 맹꽁이 서당도 다시 같은 시선으로 보질 못하겠네요.
  • 초록불 2010/04/29 08:34 #

    유사역사학의 영향이 우리 사회에 얼마나 깊이 파고들었는가, 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죠. 이 분은 다행히 이 작품 말고는 다른 데서 이런 주장을 하지는 않은 것으로 압니다.
  • 코코볼 2010/04/29 02:21 #

    이분이....;
  • 고고학자 2010/04/29 02:30 #

    아아 윤승운 선생마저..............
  • 2010/04/29 03:23 #

    옛날에 본 기억이 나는군요. --;;; 환독의 해악을 알고 문득 생각이 났으나 비슷한 그림체로 다른 사람이 그렸겠지 했는데 본인이셨다니 --;;;;
  • 比良坂初音 2010/04/29 03:38 #

    .....어허허허허허
  • 꽃곰돌 2010/04/29 03:39 #

    처음 알게 된 사실이네요;;;;;;;; ㅋ
  • 한단인 2010/04/29 05:14 #

    이럴수가...
  • 위장효과 2010/04/29 08:01 #

    충격과 공포가!!!!
  • 계원필경 2010/04/29 09:15 #

    역시 전염성이 강한 환독 바이러스군요...(어서 선생님께 백신을...)
  • Niveus 2010/04/29 09:21 #

    이것이야말로 충격과 공포!
    ...단군이전에 우리가 먼저 기절초풍할거같습니다;;;
  • rumic71 2010/04/29 09:26 #

    한재규 선생이 먼저 소개되어야 하지 않나 싶기도 하지만...(아니 의외성이 없던가)
  • 초록불 2010/04/29 09:39 #

    그러니까... 감염이 아니라 숙주가 된 경우는 소개할 의미가...
  • dunkbear 2010/04/29 09:31 #

    저 분도 낚이셨었군요... 뭐, 이현세씨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지만서도.... ㅡ.ㅡ;;;
  • 초록불 2010/04/29 09:39 #

    그러니까... 감염이 아니라 숙주가 된 경우는 소개할 의미가... (2)
  • 베리타스 2010/04/29 09:37 #

    ...틀렸어 이젠 꿈도 희망도 없어ㅠㅠㅠㅠㅠㅠ
  • 초록불 2010/04/29 09:40 #

    아니... 희망은 <만들어진 한국사>에... (결국은 책 광고냐?)
  • 베리타스 2010/04/29 12:52 #

    아아 그렇군요. 역시 주변에 광고를 좀 열심히 해야...
  • 네비아찌 2010/04/29 09:46 #

    윤승운 선생님까지도......그래도 윤 선생님은 다른 환빠들처럼 조선왕조를 부정하지는 않으니 그나마 다행이네요.
  • 초록불 2010/04/29 10:06 #

    그러기에는 너무 많은 것을 아시는 거라 볼 수 있을지도...
  • LVP 2010/04/29 09:55 #

    그런데 'X놈'이란 단어까지 나오는 걸 보면, 인종차별주의까지..-ㅅ-;;;;

    아뚜란띠쓰+無대륙 설정집과 다를 게 무엇이란 말인가아아아...;ㅁ;
  • 초록불 2010/04/29 10:06 #

    우리 마음 속에 드리운 그늘이지요.
  • 역사관심 2011/03/12 13:05 #

    1년만에 본 글입니다만, 이런건 뭐 연배를 생각해야겠죠..
  • 2010/04/29 10:00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0/04/29 10:06 #

    그렇지요.
  • hyjoon 2010/04/29 10:06 #

    어째 가림토 운운 할 때 이상하더라니....OTL
  • 초록불 2010/04/29 10:07 #

    ㅠ.ㅠ
  • 진성당거사 2010/04/29 10:25 #

    저도 초등학교 때 저 만화 삼국유사를 보고 기절초풍............;; 여전히 가지고는 있습니다만 꺼내 볼 용기가 전혀 안납니다. 가슴이 아파서요.
  • 2010/04/29 10:36 #

    원로 만화가들 분중엔 이런 식으로 살짝 발 담갔다 빼신 분이 종종 있으시더군요.
  • 코토네 2010/04/29 10:41 #

    믿었던 윤승운 화백마저... 충격과 공포입니다;;
  • 존다리안 2010/04/29 11:49 #

    저도 윤승운 화백이 저런 걸 그리셨다니 믿겨지기를 않습니다.
  • 샤티엘 2010/04/29 12:20 #

    ...자...잠깐 윤승운 화백마저?
    이건 정말 충격과 공포인데요? 다른이들이 환환 하는 것보다 충격이 심합니다.
  • 루드라 2010/04/29 14:05 #

    다른 사람들이 이러는 건 단지 짜증이 날 뿐이지만 윤승운 선생님이 이러니까 좀 슬픕니다. -_-
  • 韓浪 2010/04/29 16:38 #

    저 분까지 환단고기에 물드셨 줄이야...기절초풍 합니더ㅠ.ㅠ

    참, 그러고 보니 예전에 초록불님 블로그였나...하여간 어디에서 바람의 나라가 유사역사학의 영향을 받았다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 혹시 아시는 분 있습니까?
  • 초록불 2010/04/29 21:39 #

    바람의 나라는 본래 고구려 대무신왕 대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살짝이라도 유사역사학 영향이 있을지 모르겠네요. 저는 그 만화를 옛날에 띄엄띄엄 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 rumic71 2010/04/29 23:15 #

    이런 건 생원고를 만져 본 제가 답을 드려야 할 텐데, 저도 지금은 확답을 못 드리겠군요. 일일이 대조해보면 답이 나오긴 할 텐데...
  • 원샷원킬 2010/04/29 20:18 #

    중국인 비하에 한반도 비하까지,,,
  • oldman 2010/04/29 21:52 #

    매우 충격이군요...orz
    이러셨을줄은 몰랐습니다.
  • 萬古獨龍 2010/04/29 23:17 #

    아 앙돼...!!
  • 주코프 2010/04/30 06:48 #

    만화잡지 '보물섬'의 진정한 보물이었던 만화의 선생님...'선대왕편을 공부한다!!'라고 꾸짖던 그분이 돌아오시길 기원합니다..
  • 2010/04/30 09:14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0/04/30 10:03 #

    그랬군요.
  • 2010/04/30 09:42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0/04/30 10:03 #

    고맙습니다.
  • 회색인간 2010/04/30 10:17 #

    선생님 ㅠㅠ
  • 치이링 2010/04/30 10:40 #

    그러고보니 전 저거 보고 어릴적에 환단고기를 믿었었죠.
  • zirtman 2010/04/30 11:31 #

    으아니!! 챠!! 왜 낚이는그야??
  • 정크갱 2010/04/30 11:43 #

    이거 옛날에 본 기억이..... 지금 보니 씁쓸하군요.
  • Lucifer 2010/04/30 12:18 #

    저거 초딩때 본 기억이 나는군요.
    저때는 순수하게 그걸 다 믿었지만...OTL

    뭐 윤승운씨는 가끔 이상한 이야기를 잘 하죠.
    맹꽁이서당을 보면 임진왜란때 우리가 비행기를 발명헀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니 -ㅅ-;;
  • 초록불 2010/04/30 12:34 #

    순수하게 그걸 믿다가 커서도 헤어나지 못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리고 비차에 대한 이야기는 조선 시대에 있던 이야기(실학자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에 나옵니다)로 몇 년 전에 항공대에서 심지어 실험도 해봤었지요...^^;; 현재 추측은 동력기가 아니라 글라이더 형태의 물건이 아니었을까, 라고 하더군요.
  • 잠본이 2010/11/22 23:41 #

    꽤 뒷북이지만 '비거'에 대한 이야기는 옛날 새소년 클로버문고 시절에 박찬식씨의 '겨레의 혼 정평구'에서도 다룹니다. (그 만화에서는 일종의 열기구 비슷한 걸로 그렸는데 기구 치고는 방향전환이 너무 잘되는듯 OTL)
  • 耿君 2010/04/30 12:56 #

    충공깽이군요 ㄷㄷ
  • 아야소피아 2010/04/30 14:16 #

    윤 화백님마저 저를 좌절시키는군요...
  • thespis 2010/04/30 15:31 #

    저렇게 따지자면

    핀란드 : 헐 우리나라 완전 땅덩이 큰 나라였는데 지금은 서쪽 추운 구석탱이에 있음 ㅠㅠ
    헝가리 : 헐 우리나라 완전 큰 나라였는데 지금 서쪽 구석탱이에 있음 ㅠㅠ
    티벳 : 헐 우리나라 완전 큰 나라였는데 지금은 중국한테 다 뺐겼음 ㅠㅠ
    일본 : 역시 우리나라는 중국과 한국을 아우르는 거대 제국임.
    아메리카 인디언 : 헐 우리나라 완전 큰 나라였는데 지금은 백인들이 ㅠㅠ

    이렇게 되나요.. 과연 사해민족주의...
  • 들꽃향기 2010/04/30 16:49 #

    동아프리카 국가들 : 너희는 사실 다 우리 후손임! (....)
  • 리드 2010/04/30 18:33 #

    들꽃향기님// 오오 루시 오오
  • 대도서관 2010/04/30 15:53 #

    저 책은 저도 가지고 있습니다.
    어릴적부터 맹꽁이 서당 시리즈를 비롯해서 윤승운 작가 만화책에 둘러쌓여 살아서(...)
    이것저것 주워들은 지금 와서 보면 씁쓸합니다.
  • FC안양 2010/04/30 16:33 #

    윤승운 작가의 책은 이것저것 보긴 했는데 이런 책이 있었는 줄은 몰랐네요.
    조선왕 실록인가.. 이것도 꽤 재미있게 봤구요.

    하여튼 안타깝습니다. 어서 저 세계에서 빠져나오시길 비는 수밖에요.
  • SERIN 2010/04/30 17:41 #

    아 이거 어디선가 봤던가했는데 환빠들이 활개 칠때마다 제 머리 한구석에 있었던 그것이군요..
    이날 이때까지 정체를 몰랐었는데 이제 확실히 기억 나서 속 시원하지만
    그러면서도 씁쓸하네요 ㅎㅎ..
  • 코쟁이 2010/04/30 18:15 #

    헉, 초등학교 저학년때(한 96~98년쯤?) 봤던 기억이 나는 만화책인데 저런 내용이 있었는지는 미처 몰랐네요.

    김부식 이야기나 '제 조상도 제대로 몰러?' 하는 장면, 가림토 떡밥 등은 기억이 나는데 저렇게 노골적으로 환국 드립을 쳤을 줄이야...
  • shaind 2010/04/30 18:47 #

    김지하 시인 같은 경우는 70년대에 "제정신이던" 시절부터 정감록 같은 데 관심을 갖고 하셨으니, 주화입마해서 환단고기에까지 손을 대었다고 해도 놀라운 일은 아니죠.
  • 2010/04/30 20:12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초록불 2010/04/30 21:12 #

    고맙습니다.
  • 드래곤워커 2010/04/30 20:19 #

    어렸을 때, 저 만화 읽고 한때 우리 민족의 위대함에 한때 빠져 살았던 저는, 의외라는 분들이 많다는 게 의외네요.
  • 초록불 2010/04/30 21:12 #

    그런 과거가...
  • 차원이동자 2010/04/30 20:28 #

    으...으악! 초중학교때 잘 읽었던 책에 이런 드립이 있을줄야!
  • Gejo 2010/05/01 21:52 #

    ....슬프네요.
  • Jtm71 2010/06/21 07:57 #

    10여 년 전에 그려진 내용이고 한때 판매되었을 뿐이라면, 그다지 안타까와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오히려, 이후로 위와 같은 내용이 없었음이 현실을 반영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공영방송에서 그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할 정도라면 대부분의 '선량한' 사람들은 윤승운 화백님과 같은 반응을 보이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 초록불 2010/06/21 09:27 #

    네, 이 포스팅은 영향력에 대한 것이라서...
  • 붉은잎 2012/06/27 14:36 #

    맹꽁이 서당 고려시대에서는 아골타가 고려에서 도망갔단 떡밥이 나오는 걸로 알고 있네요. 절판이나 수정 됬나?
  • 초록불 2012/06/27 19:50 #

    제가 초판을 가지고 있는데, 제대로 되어 있습니다.
  • 먹통XKim 2013/04/16 23:04 #

    윤승운 이 사람의 86년 연재만화 탐험대장 떡철이
    를 봐도 환빠적인 시각이 나옵니다.

    탐험으로 이름을 날리겠다는 국딩 떡철이가 아버지에게 이러죠

    아버지!

    왜 내가 요즘 시대에 태어났을까요!? 내가 옛날에 태어났더라면 콜롬부스나
    여러 탐험가들을 내쫓고 미국땅도 차지하고 ~~그랬을 거라구요~

    ㅡㅡ.....................이봐아..거기 사는 미국 원주민은 무시하냐.

    물론 아버지에게 그러는 놈이 공부는 늘 0점인데 그 시대에서 허구헌날 얻어맞고
    제대로 이름도 못 남겼을 것이라고 면박만 당하긴 하죠.
  • 초록불 2013/04/17 09:59 #

    그 정도는 흔히 할 수 있는 이야기라 생각합니다. 유사역사학적인 시각이라고 이야기할 때는 광범위하세 잡으면 안 된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잘못하면 무조건적인 매도로 비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시각은 좋지 않다는 의미로 말씀하신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 먹통XKim 2013/04/17 12:35 #

    아예..그런 시각이 좋지 않다는 뜻이 더 강하죠.무작정 이게 환빠짓이라고 욕하기보단... 뭐 이정도라면 저도 그냥 크게 비난할 마음도 없지만 이후로.....이분 작품에서 ㅠ ㅠ....위에 초록불님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유사역사아웃

2017 대표이글루_history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