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님이 알려주셔서 한 번 찾아봤다.
대충 이렇게 나왔다. (뒤의 소속은 논문 발표 시점)
2016년 2월 <역사비평> 제114호 사이비 역사학과 역사 파시즘 / 기경량(강원대)
2016년 6월 <역사와 현실> 제100호 최근 한국상고사 논쟁의 본질과 그 대응 / 송호정(한국교원대)
2017년 3월 <동북아역사논총> 제55호 『규원사화(揆園史話)』·『단기고사(檀奇古史)』·『환단고기(桓檀古記)』위서론의 성과와 과제 / 조인성(경희대)
2017년 9월 <역사와 현실> 제105호 청산되어야 할 적폐, 국수주의 유사역사학 / 정요근(덕성여대)
2018년 7월 <역사교육연구> 제31집 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유사역사 문제 / 이정빈(충북대)
2018년 5월 <강원사학> 제30집 한국 유사 역사학의 특성과 역사 왜곡의 방식 / 기경량(서울대)
2019년 1월 <사림(성대사림)> 67권 ‘임나 대마도설’과 전도(顚倒)된 식민주의 /위가야(성균관대)
2019년 3월 <역사학보> 제241집 사이비 역사학의 평범성에 대하여 - 역사학의 전문성을 위한 단상 / 오항녕(전주대)
2019년 9월 <역사학보> 제243집 한국고대사 연구의 양적 증가와 새로운 동향 / 정동준(성균관대)
2019년 9월 <민족문화논총> 제72집 새 중등 역사교육과정 한국고대사 내용 구성에 대한 제언 / 조영광(국사편찬위원회)
2020년 7월 <역사교육연구> 제37집 고대사파동과 식민주의, 한국고대사학의 성과와 과제 / 이정빈(충북대)
덧글
- 만인만색에서 자문한 페치카 모바일 게임도 플레이해 보니 디테일에 감탄했는데 문화콘텐츠 쪽으로도 앞으로가 기대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