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루스 블로그 컨텐츠
제일 유명한 것은 마마. 마마는 원래 媽媽에서 온 것으로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퉁구스 계통의 제어에서 사용되는 마마(노부인)에서 온 것이라는 설이 있다.
(이 짤방을 알면 아재...)
원래 마마는 여성에게만 사용되지 않고 "상감마마"처럼 남녀 가리지 않고 사용되었다. 이 점에서 퉁구스 계통에서는 "주인"의 뜻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마마는 동궁까지 사용하고, 세자빈은 붙이지 않는다. 세자빈은 "마노라" 또는 "마누라"라고 부르는데, 오늘날에는 약간 비하의 의미를 가진 그 마누라 맞다. 마누라는 마마와 같이 사용되기도 해서, 대비마마, 대비마노라는 같이 발견된다.
또한 양반 부인에게도 허용한다. "마님"이라는 호칭은 "마노라님"이 줄어든 말이라 하고 "마마님"의 줄임말은 아닌 것으로 본다.
미혼 왕실 자녀들을 부르는 호칭은 "아기시"다. 남녀를 가리지 않고 사용한다. 원자아기시, 대군아기시, 공주아기시 등등.
결혼하면 호칭이 바뀐다. 왕자는 대감으로 부른다. "의화대군"이라 부르는 것이 아니라 "의화대감"이라 부르는 것이다.
공주는 "자가" 또는 "자갸", "자게"라고 부른다. 이 말은 자기(自己)라는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해서 공주 등 여성에게 붙는 호칭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한편으로 자가(自家)에서 온 말이라는 주장도 있다.
쟈갸>자내(자네)>저 순으로 존칭이 된다. 참고로 말하자면 "자내"는 양반집에서 아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어쨌든 오늘날 애인 간에 "자기야"라고 부르는 말은 원래는 존칭이었던 말일 가능성도 있겠다. 마노라가 민간에 내려온 것처럼 "자갸"도 민간에 내려와 "자기야"가 됐을지도...(아님!)
덧글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