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 이오공감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
- 푸념(34)2014.04.13
- 간도는 빈 땅이었으니 차지하면 된다는 논리의 빈틈(44)2013.03.20
- 여성가족부 마음에 드는 청소년 게임 기획안(72)2012.09.18
- 운전에 관한 잡담(49)2012.07.11
- 대한제국 교과서가 전하는 기자조선의 역사(29)2012.04.01
- 3.1절 특집 - 이완용의 3.1 운동 경고문(59)2012.03.01
- 추천! 일반인을 위한 역사책(135)2011.12.20
- 지역감정과 공동체(112)2011.06.27
- 빈부격차, 연대, 사랑(23)2011.06.18
- 조롱과 모욕의 문화(78)2011.06.10
그러니까 박근혜 대통령이 환단고기를 인용할 때 이미 찜찜한 구석이 있었고 - 사실 민주당 정권 때도 유사역사학 분위기를 풍기는 일이 적지 않았다 - 이건 워낙 각계각층에 환독이 침투해 있기 때문에 그러려니 하고 있긴 했다.또한 이미 교육부에 적을 둔 사람이 고조선에 관련된 뻘짓거리 책을 낸 적도 있고...그렇다 해도 이쯤 되면 좀 걱정스럽다.[경향] ‘...
- *..역........사..*
- 2013/03/20 23:06
영조 7년(1731) 6월 청나라에서 사신이 왔습니다. 청나라는 옹정 9년의 일이죠.압록강 북쪽 봉황성 근처에 초하草河와 애하靉河라는 강이 합해져서 중강中江으로 들어가는 지점이 있는데 이 지방을 만뉴샤오[莽牛哨]라고 부릅니다. 이곳에서 조선인과 청인 사이의 밀무역이 자행되고 있었습니다. 이 밀무역을 단속하고자 봉천 장군 나소도那蘇圖는 이곳에 소선小船 4...
- *..게........임..*
- 2012/09/18 00:51
여성가족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서 "보통이다"(5단계 평가 중 3단계)를 받으면 성인용 게임으로 분류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중이다. 1. 강박적 상호 작용1-1. 게임 캐릭터의 레벨, 능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역할을 분담해 협동하는 게임구조1-2. 여러 명이 함께 임무(퀘스트)를 수행해야 때문에 게임 도중에 빠져나올 수 없는 게임구조1-3...
- *..만........상..*
- 2012/07/11 10:18
오늘 뉴스를 보니 깜박이(차선변경 신호등을 가리킴)를 켜지 않는 운전자가 늘어난다고 한다.그것은 깜박이를 넣으면 오히려 양보를 하지 않고 무섭게 달려오는 차들 때문이라고 하는데...나는 운전한 지 20년이 되는데, 깜박이를 넣지 않고 차선을 변경하는 일이 없다. 물론 뉴스에 나오는 것처럼 그렇게 하면 미친듯이 달려와 내 앞에 들어오는 건 용납할 수 없어...
- *..역........사..*
- 2012/04/01 12:14
1910년 11월 일제는 50종의 책을 금서 처분하고 압수했는데, 이것이 잘 알려진 20만권 분서설을 낳았다. 최근 나는 이때 금서처분되었던 책 중에서 기자조선의 진실을 알리는 내용을 발견했다. (진짜?)이 책은 대한제국 시절 교과서로 사용된 책이다. 대체 모조리 분서해버린 이 책이 어떻게 아직도 전해지고 있는 거냐!국민교육회에서 1906년 6월에 편찬...
- *..역........사..*
- 2012/03/01 16:14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난 뒤에 이완용은 그 악명에 어울리는데로, 3.1운동에 대한 비난과 참여자들에 대한 경고문을 세 차례에 걸쳐서 매일신보에 발표한 바 있습니다. 아래는 그 전문.제1차 경고 - 4월 5일오호, 조선 동포여. 세상 말에 죽음 중에서 삶을 구한다는 말이 있더니 지금에 조선인민은 삶 중에 죽음을 구하니 이 어찌된 일이오. 얼핏 알아...
- *..역........사..*
- 2011/12/20 01:08
선정 원칙1. 이글루스 블로거 추천 도서2. 절판 도서 제외 3. 미번역 도서 제외4. 1차 사료 제외 (해설서 위주)5. 난이도 별로 1에서 5로 분류 : 숫자가 높을수록 어려운 책이며 1은 초등학생, 2는 중학생, 3은 고등학생 4는 일반인, 5는 심화과정으로 분류하였음.보완 정책1. 부적합한 책 제외 : 이의 제기 및 방어 허용2. 부족한 부분의 ...
- *..만........상..*
- 2011/06/27 21:20
1.이런 이야기를 쓰는 것은 부담이 된다. 그런데 쓰긴 써야겠다.2. 섬노예 사건으로 전라도 전 지역을 흉보는 사람들이 있다. 잘못된 것이다. 이것은 연좌제를 시행하는 것과 같다. 그런 일은 조선 시대에끝났다. 근대화된 대한민국에서 이게 웬말인가? 그런데 이에 대해서 "광주민주화운동"은 전라도 전체가 자랑스럽게 여기지 않느냐는 말도 있다. 이 말 자체에...
- *..만........상..*
- 2011/06/18 10:11
마이클 샌델은 (이창신 역, 김영사, 2010)에서 이렇게 말한다.빈부격차가 지나치면 민주 시민에게 요구되는 연대의식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이다. 왜 그럴까? 불평등이 깊어질수록 부자와 가난한 자의 삶은 점점 더 괴리된다. 풍족한 사람들은 아이들을 사립학교에(또는 부유한 교외 지역의 공립학교)에 보내고, 그 결과 도심 공립 학교에는 대안이 없는 가정의 아이...
- *..만........상..*
- 2011/06/10 08:04
조롱과 모욕의 문화가 현실에 등장하면 이 모양이 된다.나는 조롱이 가지는 긍정적인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한 바 있다.비유, 풍자, 해학과 조롱 [클릭]위 포스팅에서 이런 말을 한 바 있다.풍자와 결합하지 못한 조롱은 근본을 변화시킬 수 없는 무기력한 몸놀림이기는 합니다. 단지 "배설"에 그칠 수도 있죠. 하지만 "배설"을 우습게 보아서는 안 됩니다. 인간...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