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 작법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
- 재능과 노력(3)2014.07.17
- 재능에 대한 이야기(25)2013.07.30
- 고수와 하수(5)2013.04.28
- 신경림(13)2011.11.25
- 소설가 지망생에게 현실을 알려주는 소설(40)2011.07.21
- 순문학(22)2011.03.31
- 이상과 현실(4)2011.03.26
- 에드거 앨런 포(10)2011.03.14
- 그러니까 장르소설은 만만해 보여?(35)2011.03.11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6)2011.03.11
[중앙일보] 노력하면 된다? … '1만 시간의 법칙' 틀렸다 [클릭]어떤 분야든 선천적 재능이 없으면 아무리 노력해도 대가가 될 수 있는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는 결론이다. 햄브릭 교수는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력이 필수적이지만 선천적 재능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이 생각하는 것만큼 절대적인 요소는 아니다”고 설명했다.내가 생각...
- *크리에이티브*
- 2013/07/30 15:50
몇 달 전에 메일 한 통이 왔습니다. 강원대 조은하 교수 소개로 온 메일이었죠. 내용은 스토리텔링 관련해서 인터뷰를 했으면 한다는 것이었습니다.조 교수님에게는 고마운 일도 여럿 있고 해서 거절 할 수가 없었지요. 그래서 만났는데, 제가 선택된 것은 "게임 시나리오 작가"라는 타이틀 때문이었죠. 이 타이틀이 왜 잘못된 타이틀인지에 대해서부터 이야기를 시작...
- *..만........상..*
- 2013/04/28 21:38
바둑에 한참 재미를 붙일 때였다.마침 지방에서 올라와 우리집에서 대학을 다니던 사촌형이 3급을 두고 있어서 바둑을 배울 수 있었다. 바둑에 흥미가 당긴 나는 형을 볼 때마다 한 판 두자고 했는데, 형은 나와 바둑을 두는 걸 그리 즐기지 않았다. 시간이 없어서 그런 것은 아니다. 사촌형도 바둑을 꽤 좋아해서 기원에 나가서 둘 때도 있었으니까.문제는 내가 ...
- *..문........화..*
- 2011/11/25 01:14
예술이라는 것은 일단 첫번째로 읽는 사람들한테 즐거움을 주어야 한다고 봅니다. 읽는 재미가 없으면 아무리 훌륭한 뜻을 담고 있어도 쓰레기통에 집어넣어도 괜찮다는 얘기지요. 다른 말로 하면 독자들한테 즐거움을 주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겁니다. - 나의 문학 이야기, 문학동네, 2001, 38쪽신경림 시인은 자신도 민중시인이라 불리지만, 이라 말하면서 경향성...
- *..문........화..*
- 2011/07/21 00:28
지난 밤 써놓았던 마지막 문장은 그렇게 끝을 맺고 있었다. 어제까지 쓴 것은 원고지로 열 장이 안 되는 분량이었고, 시간은 일주일이 걸렸다. 이따위 것을 쓰는 데 일주일이나 걸렸다니, 점점 늘어가는 자괴감이 내가 이제 글쓰기를 그만두려는 가장 큰 이유이다....소설이 작가 자신을 위한 것이라면 충만감이 들어야 할 텐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한없이 나...
- *..문........화..*
- 2011/03/31 22:37
이쪽을 열혈로 읽는 사람은 아니니까 실명 거론은 하지 않겠다. 작가당 읽어본 게 몇 편 되지 않으니까.내가 보기에 순문학 작가들은 이런 식으로 나눠진다.1. 판타지1-1. 판타지를 섞는 작가 : 장르소설에서 판타지에는 이계진입물이 있는데, 순문학에서 판타지는 대개 현실로 판타지가 들어오는 형식을 취한다. 이런 일을 순문학 작가들은 사전 설명 없이 태연히...
바쿠만 BAKUMAN 5 - 오바 츠구미 지음, 오바타 다케시 그림/대원씨아이(만화)작가가 성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세가지.1. 자뻑 (나도 이야기한 바 있다. - 작가와 편집자의 차이 [클릭])2. 노력3. 운 (말콤 글래드웰의 을 떠올려라!)이 대목에서 이 만화에 "빡" 갔다.그리고 위에 붙여놓은 5권에 나오는 이야기.마시로 모리타카 : 그 세계...
- *..문........화..*
- 2011/03/14 15:00
독창적이되 늘 환상적이어야 하고 진정한 상상력을 보여주되 늘 분석적이어야 한다.- 바벨의 도서관 에드거 앨런 포, 보르헤스 세계문학 컬렉션 01, 김상훈 역, 바다출판사, 2010, 142쪽
- *..문........화..*
- 2011/03/11 22:21
[조선일보][조선데스크] 장편소설 르네상스? [클릭]위 컬럼에서 어수웅 기자는 최근 순문학에 쏟아지는 장편들이 대부분 안 팔리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많은 이유들을 종합하면 아직 세계와 정면대결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젊은 작가들이 섣불리 장편에 도전했다는 비판으로 압축된다....
- *..문........화..*
- 2011/03/11 14:22
어떤 책에 대한 진정한 반응은(반응이라는 게 있기나 한다면) 주로 나는 '이 책이 좋다'거나 '나는 이 책이 싫다'는 것이며, 그 뒤에 따라붙는 것은 합리화일 뿐이다.- 주례사 비평이 난무하는 한국 평단에는 아예 '이 책이 싫다'는 반응도 없다...고 한다. (사실 관심이 별로 없다. 읽을만한 평론을 본 지도...)그런데 나는 '나는 이 책이 좋다'는 ...
최근 덧글